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에 사용되는 전압제어발진기(VCO: Voltage-Controlled Oscillator)로 전류궤환 회로(current feedback network)를 내장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전류궤환 회로를 내장한 전압제어발진기는 높은 입력임피던스와 낮은 출력임피던스를 나타내므로 외부 부하와의 격리도가 좋아서 부하에 의해서 발진기 전체 회로의 양호도(Q-factor)가 나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전류 궤환형 전압제어발진기는 정궤환(positive feedback)을 발생시키는 LC 공진회로가 있으며, LC 공진기의 가변 커패시터를 조정해서 더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부성저항(negative resistance)을 갖게 하였다. 또한 정궤환 루프(loop)에 부스팅 인덕터를 삽입시켜서 더 큰 부성저항을 갖게 해서 회로 제작시 발생하는 기생 저항성분때문에 발진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보완하였다. 전류궤환형 전압제어발진기(voltage-controlled oscillator using current feedback network) 부스팅 인덕터(boosting inductor), 궤환 루프(feedback loop).
KSP 제안 키워드
Current feedback, Feedback Loop, Positive Feedback, Quality-factor(Q-factor),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VCO), feedback network, negative resistance, voltage controlled, wireless communication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식공유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각종 연구과제, 성과물 등)은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 무단복제 및 배포를 원칙적으로 금하고 있습니다. 저작물을 이용 또는 변경하고자 할 때는 다음 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작권법 제24조의2에 따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저작재산권의 전부를 보유한 저작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자유이용이 가능한 자료는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 기준(공공누리, KOGL) 제4유형"을 부착하여 개방하고 있으므로 공공누리 표시가 부착된 저작물인지를 확인한 이후에 자유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유이용의 경우에는 반드시 저작물의 출처를 구체적으로 표시하여야 하고 비영리 목적으로만 이용이 가능하며 저작물을 변형하거나 2차 저작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출처표시방법 안내> 작성자, 저작물명, 출처, 권호, 출판년도, 이용조건 [예시1] 김진미 외, "매니코어 기반 고성능 컴퓨팅을 지원하는 경량커널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32권 4호, 2017, 공공누리 제4유형 [예시2] 심진보 외, "제4차 산업 혁명과 ICT - 제4차 산업 혁명 선도를 위한 IDX 추진 전략", ETRI Insight, 2017, 공공누리 제 4유형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들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담당자와 사전협의한 이후에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