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ENGLISH
기술이전 검색
연도 ~ 이전수 키워드

상세정보

컴퓨팅 기반 서비스 중개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브로커 기술 1.0

전수책임자
강동재
참여자
강동재, 김명준, 김원영, 김진미, 배현주, 손석호, 이병선, 이지현, 정성인
기술이전수
2
이전연도
2015
협약과제
14MI9200, (통합)스마트 네트워킹 핵심 기술 개발, 이병선
다양한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의 출현으로, 사용자에게 최적의 클라우드 선정 및 상이한 환경으로 인한 사용 복잡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는 구축한 클라우드 인프라의 낮은 활용률 개선과 새로운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화 모델의 발굴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클라우드 기반의 미래 서비스 확산에 따른 클라우드간 연동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요구되고 있다. 클라우드 연동을 위해서는 다양한 클라우드 사이에 서로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의 연계가 요구되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와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자 사이에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중개 역할(클라우드 서비스 브로커리지 기술)이 필요하다.
- 본 기술은 “스마트네트워킹 핵심기술 개발” 사업의 실행과제인 “분산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합, 중개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브로커 기술 개발” 과제의 결과물로서 개발되었으며, 이를 산업계에 전수하여 국내 클라우드 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함.

- 본 기술의 기술이전을 통하여, 새로운 사업 모델인 클라우드 서비스 중개 사업에 기업의 진출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이윤 창출을 도모하고, 사용자 측면에는 클라우드 서비스 활용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함

- 보다 신뢰성 있는 클라우드기반 서비스 실현 하기 위해 SLA가 미비한 현재의 클라우드 서비스(take it or leave. 즉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가 제시하는 조건으로만 서비스의 계약이 이루어짐)에서 사용자 요청사항을 기반으로 하는 SLA가 강화된 클라우드기반 서비스로 발전할 필요성이 있음

- 클라우드 서비스 활용 확산 및 관련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서는 사업자 중심 서비스에서 사용자 중심 서비스로 전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사용자와 사업자간 SLA 협상기반의 신뢰성이 보장되는 맟춤형 서비스 제공이 필수적임

-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 및 특정 솔루션에 대한 종속성을 탈피하여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택,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권리를 보장하고자 함
- WAS와 같은 통합 서비스 거래 및 통합 자원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거래 등 필요한 ICT 개별 자원의 거래를 가능하게 함
- 분산되어 있는 다중 클라우드의 자원을 통합 관리하여 클라우드 간 서비스를 가능하게 함
- 사용자의 클라우드 서비스 요청 명세서를 기반으로 SLA 기반 서비스 배치, 모니터링 및 SLA 기반 재선정을 포함하는 서비스 관리 기술로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가능하게 함
- 클라우드 서비스 소비자,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 클라우드 서비스 브로커 관리자 각각의 이익 증대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 거래 방식을 지원하는 구조
- IaaS 브로커리지를 기반으로 SaaS 브로커리지의 서비스까지 비즈니스 모델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
- 다수 사업자의 이종 클라우드 지원을 위한 클라우드 연동 기술로 사용자 중심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
가. 기술이전의 내용

(1) 클라우드 서비스 브로커 포털 기술
o AnyBroker CSP(Cloud Service Provider) 포털
o AnyBroker CSB(Cloud Service Broker) 포털
o AnyBroker CSC(Cloud Service Condumer) 포털
o 클라우드 서비스 운영 정보 관리 기능
o 사업화 지원 기능

(2) 컴퓨팅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 브로커 엔진 기술
o 최적 클라우드 선정 및 협약 기능
o 서비스 통합 및 배치 기능
o 서비스 라이프사이클 관리 기능
o 모니터링 관리 기능
o 클라우드 연결 관리 기능

나. 기술이전의 범위

(1) 클라우드 서비스 브로커 포털 SW
o AnyBroker CSP(Cloud Service Provider) 포털 SW
o AnyBroker CSB(Cloud Service Broker) 포털 SW
o AnyBroker CSC(Cloud Service Condumer) 포털 SW
o 클라우드 서비스 운영 정보 관리 SW
o 사업화 지원 블록 SW

(2) 컴퓨팅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 브로커 SW
o 클라우드 서비스 브로커 중재 블록 SW
o 서비스 라이프사이클 관리 블록 SW
o 모니터링 관리 블록 SW
o 클라우드 연결 관리 블록 SW
(1) 활용 방안
- CSB 서비스 카탈로그 기능을 활용한 KT IaaS 중계 서비스
- PaaS 및 SaaS 중계 서비스
- 다중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 다중 클라우드기반 CDN PoP 구성, 운영 서비스
- CSB의 모니터링 기술과 클라우드 연결관리 기술을 활용하여, 미래부의 클라우드 서비스 품질 관리 사업에 활용
- 중소규모 클라우드 사업자의 클라우드 서비스 협동조합 정책(가칭)에 활용
- 오픈스택기반 한중일 3국간 클라우드 테스트베드 연동에 활용

(2) 기대효과
- 클라우드 서비스 브로커 기술은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 및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
. 중·소 규모의 클라우드 사업자간 연동을 통해 아마존과 같은 주요 벤더수준의 신뢰성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 클라우드 자원을 누구나 거래할 수 있는 신시장(예. 클라우드 오픈 마켓)
. 사업자는 자원이 없이도 다른 사업자의 다양한 클라우드 자원을 확보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클라우드를 제공하는 등의 클라우드 연동 중재자 비즈니스
. 클라우드 서비스 브로커리지 비즈니스 창출이외 자연재해, 서비스 폭증 대비, 하이브리드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

- 클라우드 컴퓨팅 브로커 산업 발전에 따른 생산유발효과는 ‘17년 4조 6천억원에 이를 전망되며, 빅데이터 산업의 생산유발효과는 ’17년 11조 9천억원으로 전망(출처: 한국은행산업연관분석표, 2012)

- 클라우드 기술의 경우, ‘12년 일자리 창출효과는 9,376명에서 ’17년까지 누적 일자리 창출효과는 23,594명으로 전망
※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표를 바탕으로 고용유발계수(각각 1.54, 132) 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