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기반 기술로 일반적으로 판매하는 다수의 서버를 고속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대규모의 메모리를 가진 가상 시스템처럼 보이도록 하는 기술
- 본 기술은 “유전체 분석용 슈퍼컴퓨팅 시스템 개발 사업”의 실행과제인 “성능가속시스템SW 서브시스템” 과제의 결과물로서 개발되었으며, 이를 산업계에 전수하여 국내 소프트웨어 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함.
- 최근 빅데이터의 출현과 더불어 인 메모리 컴퓨팅 기술이 대두되고 있고, 또한 유전체 분석 등과 같이 많은 용량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는 과학 응용이 증가함에 따라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유휴 서버의 메모리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기업들과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저비용으로 다수의 노드로부터 메모리를 제공받아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여 글로벌 기업과의 기술 격차를 극복하는 기회로 활용.
물리적 메모리보다 크게 보이도록 하는 가상 주소 공간 관리 기능
- 메모리 페이지 부족시 페이지 Victim 선택 및 교체
- Infiniband RDMA 기반 고속 데이터 통신 제공
- 응용 특성에 따라 기본 페이지 크기 설정 (4K ~ 2Mbyte )
- 1-N ( 클라이언트-서버 ) 지원 및 데이터 placement 정책 제공
- 원격 메모리를 블록디바이스로 접근 가능
다수의 노드의 메모리를 단일 메모리를 가진 시스템으로 보여주는 가상머신 기반 메모리 확장 모듈 기술 V2.0
o 원격메모리 가상주소 매핑 기술
o Infiniband/Ethernet RDMA 기반 고속 데이터 통신 기술
o 응용특성을 고려한 페이지 크기 조절
o 페이지 교체를 위한 Victim 선택
o 독점적 메모리 데이터 관리
o 다수의 메모리 제공자 지원
o 메모리 확장 시스템의 모니터링
o 하이퍼바이저 패치 모듈
o 메모리 확장 리눅스 모듈
o RDMA 기반 노드간 통신 모듈
o 모니터링 모듈
o 소스코드, 상세설계서, 시험계획서, 시험 절차서, 기타 기술문서
- 인 메모리 멀티 노드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아키텍처 인프라로 적용 가능
-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적으로 메모리를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메모리 클라우드의 기반 기술로 사용
- 새로운 하드웨어의 추가 없이 기존 다른 서버로부터 메모리를 제공받아 대규모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는 응용을 수행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