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ENGLISH
기술이전 검색
연도 ~ 이전수 키워드

상세정보

물류자동화를 위한 위상지도기반 로봇 편대관리시스템 시뮬레이터

전수책임자
유원필
참여자
나기인, 송수환, 유원필
기술이전수
1
이전연도
2022
협약과제
21HS2400, 노동환경 개선을 위한 로봇 작업지능 핵심기술 개발, 유원필
22HS4500, 노동환경 개선을 위한 로봇 작업지능 핵심기술 개발, 유원필
물류현장에 적용가능한 N대 로봇의 동시운용을 지원하는 로봇편대관리시스템(Fleet Management System)의 기능과 성능을 분석하는 시뮬레이터를 제공한다 (이하, FMS시뮬레이터). 본 기술의 대상로봇은 AGV, AMR, AGF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FMS시뮬레이터는 다음의 주요 컴포넌트를 제공한다.
- 작업계획 컴포넌트 (Task Planning):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작업 (팔레트/박스를 특정장소로 이동)을 로봇에게 할당
- 경로계획 컴포넌트 (Path Planning): 할당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다중 로봇들의 경로를 계획
- 교통제어 컴포넌트 (Traffic Control): 로봇들이 계획한 경로를 충돌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교통제어
- 사용자 인터페이스 (User Interface): 주어진 운영 시나리오에 따른 작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다중 로봇의 동작 상황을 보여주기 위한 공간지도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
- 물류 산업의 확대로 인하여 물류 현장은 대규모 물동량을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할 뿐 만 아니라 로봇 등 물류 현장의 다양한 장비를 포함하여 수시로 바뀌는 물류 요구사항, 공간배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물류 처리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 특히, 기존의 인력에 의한 물류 처리시스템은 생산비용 증가 뿐 만 아니라 효율 측면에서 점차적으로 로봇이나 자동화 장비를 이용한 시스템으로의 교체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 로봇 FMS시뮬레이터를 구축함에 있어 다양한 공간구조, 다양한 로봇플랫폼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로봇제어, 작업할당, 교통제어, 경로탐색 등 다양한 알고리즘과 SW컴포넌트가 필요하다.
- 그러나, 최근까지도 다양한 로봇플랫폼, 다양한 물류 시나리오, 동적인 물류 현장을 효과적으로 모델링하여 실제 물류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듈화된 공통솔루션 형태의 제품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음
- 본 이전기술은 이러한 물류 현장의 기술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로봇 FMS의 주요 컴포넌트를 독립실행 및 유지보수 가능한 형태로 개발하여 다양한 현장 수요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며, 특히 동적 공간변화, 다양한 로봇 플랫폼을 지원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범용적인 로봇FMS 시뮬레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 국제표준기반의 지도규격을 적용하며, 물류현장의 다양한 레이아웃 및 작업 공간의 변화에 대응하여 빠르게 로봇지도생성이 가능
- 생성된 지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운용시나리오를 지원하는 다중로봇 스케쥴링 및 충돌방지를 포함한 교통제어솔루션을 제공
- 상기 스케쥴링 및 충돌방지 기능은 수십대 이상의 다중로봇인 경우에도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며 이를 기반으로 최적 AGV대수 산출이 가능
- 다양한 공간, 다양한 타입의 로봇에 유연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로봇SW 플랫폼 산업계 표준인 ROS 플랫폼 도입으로 확장성이 뛰어남
- 작업계획 컴포넌트
- 경로계획 컴포넌트
- 교통제어 컴포넌트
- 사용자 인터페이스
위상지도기반 로봇 편대관리시스템 시뮬레이터 기술
(특허) 물류자동화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프로그램)
- 위상지도기반 로봇 편대관리시스템 시뮬레이터
(기술문서)
- 다중로봇경로계획 알고리즘 구현
- 다중로봇 작업할당 모듈구현
- FMS상태 모니터링 모듈구현
- FMS인터페이스 정의
- FMS운영기술관련 동향 보고서
- FMS시험절차서 및 시험결과서
- 위상지도기반 로봇편대관리시스템 요구사항정의서
- XML파서를 이용한 MDR지도 유효성 검사방법
- CAD도면으로부터 로봇주행용 지도를 추출하는 방법
(물류 자동화)
- 생산, 재고 관리, 제조, 병원 물류, 배달, 농생산물 처리, 건설현장 등 물류를 포함하는 다양한 서비스에 직접 적용이 가능
- 특정 물류 환경 및 연동 시스템에 대한 종속성이 낮기 때문에 다양한 로봇 시스템 및 작업 처리에 적용이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