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술은 블루투스 안테나 모듈과 스마트폰 간의 거리를 추정하는 기술임
. 기술이전의 목적 및 필요성
- 차량 환경에 BLE 기반 거리 추정 기술 적용
. 물리적인 키(스마트키)를 별도로 가지고 다니는 불편함, 분실과 같은
위험도를 줄이고 스마트폰에 모든 기능을 내장함으로써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 추구
. 저전력 프로토콜로 데이터 통신에 있어 동작 주기가 매우 가볍고,
블루투스 5 이 후 향상된 대역폭의 이점을 활용하여 정밀하고
먼 거리 추정에 용이
ㅇ RSSI 보정 기술
- 안테나 특성에 기반하여 다중 경로로 수신된 RSSI 보정
- 실시간 추정을 위한 노이즈 필터링
- 스마트폰 기울기 변화에 대응한 보정
ㅇ 거리 추정 모델
- 스마트폰의 기울기를 추가하여 기존 RSSI 모델 고도화
- 동적으로 실시간 거리 추정
- 다른 시스템과 연동하기 위한 결과값 저장
가. 기술이전의 내용
A. 기술명 : RSSI 보정 기술
- 패치 안테나 특성을 활용한 RSSI 보정 기술
- 스마트폰 기울기 변화에 대응한 RSSI 보정 기술
- Multi-path 최소화 및 실시간 추정을 위한 필터링 기술
B. 기술명 : BLE 기반 거리 추정 기술
- RSSI, 스마트폰 기울기 센서값 송수신 인터페이스 구현
- 테스트 환경 변수 기반 실시간 거리 추정 기술
- 다른 시스템과 연동하기 위한 결과값 저장 기술
나. 기술이전의 범위
A. 기술명 : BLE 기반 거리 추정 SW
- RSSI 측정 소스코드 (BLE 모듈)
- 안드로이드 데모 앱 소스코드 (스마트폰)
- BLE 기반 거리 추정 라이브러리 (PC)
- BLE 기반 거리 추정 라이브러리 활용 샘플 소스코드 (PC)
B. 기술명 : 기술 문서
- 요구사항 정의서
- 시스템 설계서
- 시험절차 및 결과서
- 전세계 대다수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이 기존의 물리적인 키를 단점을
보완하여 디지털 키로 활용이 될 것이며, 이를 활용하여 커넥티드 카 서비스에
적용할 다양한 R&D가 이루어지고 있음.
- 이에 저전력 무선 통신 프로토콜인 블루투스 5가 차세대 통신 기술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정밀한 거리/측위 추정을 통한 오토매틱한 제어가 가능한
서비스 개발이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됨.
- 이러한 기술들이 상용화 수준으로 개발된다면 AVN 시스템에 내재하여 자동차
OEM, 카셰어링, 렌트카 시장 등을 중심으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장 규모를
확대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