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ENGLISH
기술이전 검색
연도 ~ 이전수 키워드

상세정보

Active Audioprint 데이터 삽입 기술

전수책임자
이태진
참여자
박태진, 백승권, 서상원, 성종모, 안치득, 이미숙, 이용주, 이태진, 정영호, 최진수
기술이전수
1
이전연도
2016
협약과제
15ZR1200, 미디어 접근편의성 향상을 위한 Active Audioprint 기술 개발, 이태진
16ZR1200, 미디어 접근편의성 향상을 위한 Active Audioprint 기술 개발, 이태진
본 기술은 방송.미디어연구소 실감방송미디어연구부 오디오연구실에서 수행하고 있는 “미디어 접근편의성 향상을 위한 Active Audioprint 기술 개발” 과제의 연구 개발 결과물로서, 오디오 신호에 부가데이터를 음질 열화 없이 삽입하여 음향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기술임
O 기술이전의 목적
● 본 기술은 추가적인 하드웨어 장치 없이 오디오 데이터에 부가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함으로써 손쉽게 관련 부가정보 및 미디어 접근이 가능한 기술로, 관련 미디어 솔루션 제공 업체 및 방송사에 보급함으로써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 분야를 개척하여 수익 모델 창출에 활용될 수 있는 요소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O 기술이전의 필요성
● 유통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양이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미디어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관리, 검색, 추천 혹은 관련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증대
● 드라마, 스포츠, 영화, 음악 등 여러 장르의 다양화된 방송 콘텐츠에 대한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기존의 음악 검색 위주로 개발된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의 데이터 삽입 및 검색 기술 개발이 필요
● 현재 널리 보급된 다양한 스마트 기기와 향후 새롭게 등장할 스마트 서비스 및 장치들과의 호환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표준화된 서비스 접근 기술 개발이 필요
● 종래 데이터 삽입 기술의 제한된 전송 데이터 양으로 인해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가 매우 한정적이므로, 보다 다양한 형태의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해당 콘텐츠의 품질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전송 가능한 데이터양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추세
● 최근 콘텐츠 연동 메타데이터 활성화와 콘텐츠 불법 유통 및 저작권 보호를 위한 기술이 필요한 추세이며, 이를 위해 비디오 워터마킹 기반의 콘텐츠 보호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이미지 DNA 추출로 인한 비용 증가 및 화질 저하 등의 문제로 인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
O AAP-ADT(Acoustic Data Transmission) 인코더 기술
- URL, 콘텐츠 ID, Time code 등 다양한 형태의 부가정보 전달에 활용 가능한 높은 데이터 삽입 전송률 제공
- 데이터 삽입에 특화된 변조 기술을 통해 오디오 신호 음질 열화를 최소화

O AAP-ADT 디코더 기술
- 데이터가 삽입된 오디오 신호에서 부가정보 추출을 통해 각종 서비스 연동 가능
- 음향 채널 지연 및 왜곡에 강인한 동기화 및 복조 방법 제공
[기술이전내용]
O 1세부기술명: AAP-ADT 인코더 기술 (데이터 삽입부): 해당 오디오 신호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AAP-ADT 인코더 기술
- 부가정보를 AAP-ADT 전송 포맷에 맞추어 비트스트림으로 변환
- 변환된 비트스트림을 오디오 신호에 삽입

O 2세부기술명: AAP-ADT 디코더 기술 (데이터 추출부): 마이크 혹은 오디오 파일로 입력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부가정보를 추출
- 부가정보 비트스트림을 추출하기 위한 동기화 수행
- 부가정보 비트스트림 추출 및 비트 오류 교정
- 부가정보 비트스트림의 원 부가정보로 변환 및 합성

[기술이전 범위]
O 공통 제공
- AAP 데이터 삽입 기술, 시험절차 및 결과서
- 음향데이터 전송기술 설명서

O 1세부기술명: AAP-ADT 인코더 기술
- AAP-ADT 인코더 SW 소스코드

O 2세부기술명: AAP-ADT 디코더 기술
- AAP-ADT 디코더 SW 소스코드
O 적용 분야
● AV 콘텐츠 소비환경에서 부가정보 전달이 요구되는 서비스 분야
● 1차단말(TV)과 2차단말(휴대단말)간에 AV 콘텐츠 동기화 서비스 (N-screen 서비스)
● 방송 콘텐츠 식별 및 보호

O 기대 효과
● AV 콘텐츠 내 부가정보 은닉을 통한 다양한 부가가치 창출 및 신규 산업 활성화
● 스마트 미디어 콘텐츠 산업 성장을 위한 요소기술로 활용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