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ENGLISH
기술이전 검색
연도 ~ 이전수 키워드

상세정보

스마트 단말용 전역적 공간 정보 기반 유해 콘텐츠 분류 엔진 기술

전수책임자
한승완
참여자
김무섭, 유정재, 정치윤, 최수길, 한승완
기술이전수
4
이전연도
2013
협약과제
13PS1400, 스마트 단말용 스트리밍 유해 컨텐츠 차단 기술 개발, 한승완
본 기술은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단말(예, 갤럭시S4, 갤럭시 노트, 넥서스 등)에서 전역적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유해 멀티미디어 콘텐츠(이미지, 동영상)를 분석하여 유해 콘텐츠 여부를 판정하는 기술
- 2011년 12월말 기준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가 2,257만명을 넘어섰으며, 태블릿 PC가입자는 52만명을 돌파한 상황에서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을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이용이 급증하고 있음 (출처, 디지털데일리, 2012/02/03, “2011년 국내 스마트폰 2258만명·태블릿 52만명”)

- 유해 콘텐츠 유통 환경이 기존의 웹하드/P2P 등에서 스마트폰/LTE/N-Screen/Cloud 서비스 등의 등장으로 인해서 스마트 단말로 변화하고 있으며, 영국 데일리메일은 2012년 1월 스마트폰으로 불법 음란물에 접근하는 어린이들이 늘고 있다고 경고하고 있음

- 스마트폰을 통한 유해 콘텐츠 배포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 스마트 폰 내의 콘텐츠에 대한 주기적 관리를 통해 청소년들이 유해 콘텐츠에 노출되거나 접근되는 기회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스마트 단말에서 유해 콘텐츠를 판단하는 유해콘텐츠 분류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음

- 본 기술의 경쟁 기술로써 스마트폰용 유해차단 기술이 있지만, 이 기술은 유해한 것으로 등록된 앱이나 동영상에 대한 차단을 제공하는 해쉬 기반의 기술로써, 등록되지 않은 유해 콘텐츠의 경우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음

- 3 -

- 본 기술은 멀티미디어 동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프레임의 다양한 정보를 분석하여 유해 콘텐츠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새롭게 등장한 유해 콘텐츠를 차단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기존 해쉬 기반 기술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기술과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음
가. 기술이전의 내용

- 본 기술은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단말에서 영상의 전역적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이미지 단위의 유해성을 분석하는 기술 및 이를 바탕으로 동영상의 유해성을 분석하는 기술

A. 기술명 : 스마트 단말용 전역적 공간정보 기반 유해 콘텐츠 분류 엔진 기술

-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프레임에 대한 전역적 특징 추출 기술

- 전역적 특징 및 기계 학습 기반 유해 이미지 분류 기술

- 프레임 유해성 분석 기반 유해 동영상 분류 기술

나. 기술이전의 범위

A. 기술명 : 스마트 단말용 전역적 공간정보 기반 유해 콘텐츠 분류 엔진 기술

- 공간정보 기반 유해특징 추출 및 판단 블록 상세 설계서

- 전역적 영상정보 기반 유무해 콘텐츠 판단 API 설명서

- 전역적 영상정보 기반 유해 콘텐츠 판단 소프트웨어 시험 절차 및 결과서

- 전역적 공간정보 기반 유해 콘텐츠 분류 엔진(SW)
- 본 기술은 스마트 단말내에 유해 콘텐츠를 분석하는 핵심 기술로써 본 기술이 진출이 가능한 시장은 PC 및 스마트 단말의 자녀보호 소프트웨어(Parental Control), 멀티미디어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분야, 콘텐츠 거래 및 솔루션 분야, 스마트 스쿨의전자 단말기 분야 등이 있음

- 본 기술의 주요 수요처는 자녀보호 소프트웨어 개발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 스마트 단말에서 자녀보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수의 통신 분야 대기업과, 자녀보호소프트웨어 제품을 개발하는 다수의 중소기업으로 구성되어 일정 수준의 수요처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이전 기술 적용시 기존 해쉬기반 차단 제품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동시에 성능을높일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하고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생각 됨

- 본 기술의 상용화 시 현재 해쉬기반 차단 제품으로 형성된 자녀보호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콘텐츠 분석 기반 유해 콘텐츠 차단 제품이라는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본 기술은 청소년들의 무분별한 유해 콘텐츠 사용을 방지하고, 유해 콘텐츠에 노출/접근되는 기회를 차단함으로써 유해 콘텐츠 남용의 부작용으로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