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기술은 원격의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자기주도적으로 맞춤형 독서지도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기술임
● 처음 서비스 사용자의 음성 기반 유창성(도서 낭독, 회상) 평가, 사실적/추론적 이해력 평가문항을 통해 독해력 수준진단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AI 기능을 포함
● 계속 서비스 사용자의 이해력(스토리 전개, 사실적, 추론적, 비판 사고) 및 어휘력 평가문항을 통해 독해력 독서활동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
● 사용자의 문해력(독해력) 평가를 통한 진단결과로 수준별 성장형 성취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관리 기능을 포함
● 관리자가 사용자의 문해력(독해력) 평가 결과에 따른 수준별 맞춤형 도서 추천 정보를 등록하여 제공할 수 있는 관리 기능을 포함
● 관리자가 사용자의 문해력(독해력) 평가를 위한 평가문항 및 정답을 등록하여 제공할 수 있는 관리 기능을 포함
● 관리자가 사용자의 문해력(독해력) 평가를 위한 추천 도서의 텍스트 및 정답 입력을 통한 사실적, 추론적 평가문항 생성 AI 기능을 포함
- 현재 오프라인방식의 독서지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독서교육 분야의 전문 연구개발 기업은 COVID-19 이후 비대면 교육 시장이 급성장하는 추세에 맞게 전통적인 교육산업에서 인공지능이 융합된 에듀테크 회사로 도약하기 위한 목적으로 인공지능융합 맞춤형 독서지도 서비스 제품 개발을 추진 중에 있으나, 자체 인공지능 기술의 부재로 제품 개발 및 사업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최근, 사회적으로 문해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독서지도 서비스 영역의 ICT 기술을 확보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창출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의 비대면 서비스 플랫폼 기술이 필요함
- 본 기술이전을 통해 비대면 방식의 에듀테크 시장진입을 위한 서비스 기술 개발에 필요한 인공지능 개발인력 및 기술부재 문제를 해결하여 조기 시장진입 비용을 낮출 수 있음
- 서비스 사용자 단말 기반 그래픽 인터페이스 제공으로 서비스 이용/관리 편의성 제공
- 서비스 사용자 문해력(독해력) 수준진단, 독서활동 평가 결과에 반응하는 성취도 콘텐츠 10종 제공
- 서비스 사용자 음성 기반 유창성(낭독, 회상) 평가 기능 제공(사용자의 응답 내용과 원본 지문과의 유사성을 평가)
- 서비스 사용자 문해력(독해력) 수준진단 및 독서활동 진단을 위한 평가 기능 제공
- 서비스 관리자에 의한 독서활동(어휘, 비판사고, 스토리전개) 평가문항 및 정답 등록 기능을 제공
- 서비스 관리자의 등록 평가 지문 및 평가문항에 대한 정답 입력을 통해 사실적 평가문항 3개, 추론적 평가문항 3개 자동 생성 및 등록 기능 제공(학습된 데이터 문체 속성을 기준으로 F1-score 93% 이상, EM 85% 이상)
- 지도교사 및 학부모의 서비스 사용자(학생)의 독서지도 현황 모니터링 기능 제공
- 사용자 문해력(독해력) 평가 90% 이상 평가 정확도 제공(실제 정답과 사용자가 맞춘 평가문항 비율 기준)
ㅇ 자기주도적 문해력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융합 맞춤형 독서지도 서비스 플랫폼 SW
- 사용자 단말 Web/App 기반 문해력 수준진단, 독서활동 평가 및 관리 기술
- 사용자 이해력(사실/추론) 평가 문항 AI 생성 기술
- 사용자 평가 결과 반영 성취 콘텐츠(10종)
● ETRI 요구사항정의서 1건
● ETRI 시험절차및결과서 1건
● 서비스 구성 관련 기술문서 1건
● 독서지도 서비스 관련 특허 1건
● 아리북1.0(자기주도적 문해력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융합 독서지도 서비스) SW 1건
- 최근 비대면 수업으로 학생의 문해력 함양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어 본 기술이전을 통해 국내 에듀테크 시장 선점 및 신규 한국어 교육 시장 진출 가능
- 엔데믹시대의 도농 간 교육 기회 격차, 소득수준 간 교육 격차 등 여러 가지 불균형 속에서 심화되고있는 문해력 격차를 인공지능융합 서비스 기술로 극복하고, 사교육비도 획기적으로 절감
- 초등학교 교육과정 연계 ‘권장도서 목록’과 같은 획일적인 도서추천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학생들의 문해력 향상에 기여
- 신규 에듀테크 교육 시장 진출을 위한 전통적인 대면 서비스 제공 기업의 기술개발 및 서비스 운영을 위한 인력확보 노력으로 고용창출효과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