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논문 검색
Type SCI
Year ~ Keyword

Detail

Journal Article 3GPP D2D(Device-to-Device) 기술의 표준화 동향
Cited - time in scopus Download 17 time Share share facebook twitter linkedin kakaostory
Authors
황유선, 신재욱, 송평중
Issue Date
2013-11
Citation
주간기술동향, v.1621, pp.11-20
ISSN
1225-6447
Publisher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IITP)
Language
Korean
Type
Journal Article
Abstract
최근 사물인터넷의 부각으로 인해 스마트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위한 통신방법 중 하나로 단말간 직접통신 또는 D2D(Device-to-Device) 통신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근접성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가 새로운 트랜드로 최근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D2D 통신기술은 단말들 사이의 물리적 근접성을 기반으로 운영되며, 네트워크의 자원 효율성 증대, 단말기 소비 전력 감소, 셀룰러 통신 영역 확대 등의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기 위해 이동통신 표준화 단체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를 통해 2011년부터 Release 12에서 study item으로 선정하여 D2D 기술을 ProSe(Proximity-based Service)라는 이름으로 타당성 연구를 시작하여 2013년에는 본격적으로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현재 3GPP SA(Service and system Aspects) 그룹 및 RAN(Radio Access Networks)에서 진행하고 있는 D2D의 표준화 동향과 기술적인 이슈를 소개하고자 한다. 본 고의 2장에서는 ProSe에 대한 개요, 3장에서는 SA1 그룹에서 다루어진 ProSe 시나리오와 ProSe 서비스를 위한 요구사항, 4장에서는 SA2 그룹에서 다루고 있는 ProSe key issue와 ProSe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조 및 지원방법, 5장에서는 RAN그룹에서 D2D 기술에 대한 논의 사항을 설명하며, 6장에서 결론을 맺는다.
KSP Keywords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 Device to Device(D2D), Proximity-based service, Radio Access Network
This work is distributed under the term of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KOGL)
(Type 2: : Type 1 + Commercial Use Prohibition)
Type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