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논문 검색
Type SCI
Year ~ Keyword

Detail

Journal Article 상황인식 서비스 기술 연구 동향
Cited - time in scopus Download 116 time Share share facebook twitter linkedin kakaostory
Authors
김재호, 신경철
Issue Date
2004-09
Citation
주간기술동향, v.1178, pp.1-14
ISSN
1225-6447
Publisher
정보통신기획평가원
Language
Korean
Type
Journal Article
Abstract
인간은 지능을 가지고 주변 상황정보에 기반하여 서로 대화를 나누며 결정을 내린다. 향후 유비쿼터스 시대에는 인간뿐만 아니라 사물들도 컴퓨팅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가지고 주변 상황을 인식하고 판단하여 인간에게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상황인식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 진행된 그 동안의 연구사례들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특정 상황과 시스템에 한정적인 기존 연구 사례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상황인식 서비스 인프라에 대한 연구 동향과 상황인식 서비스 요소기술을 살펴본다. 향후 유비쿼터스 시대의 응용 및 서비스는 컴퓨팅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가진 스마트 객체들이 동적인 환경 변화를 인식하고 이에 적응할 수 있는 특성, 즉 상황인식(context-aware) 특성을 갖게 될 것이다. 상황정보는 사용자가 상호 작용을 하는 시점에 가용한 거의 모든 정보이다[1]. 또한, 상황정보는 응용 운용 환경의 일부로 응용이 감지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람, 그룹, 객체의 위치, 식별, 활동, 상태 등을 포함한다[3]. 상황인식 서비스는 이러한 상황정보의 수집 및 교환을 통해 인식하고, 해석 및 추론과 같은 처리 과정을 거쳐 사용자에게 상황에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상황인식 서비스는 전체 유비쿼터스 서비스 집합 중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부분 집합을 차지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상황인식 서비스는 의료, 교육, 재난ㆍ구호, 쇼핑 등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응용될 수 있어 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영향을 줄 것이다.
KSP Keywords
Context aware
This work is distributed under the term of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KOGL)
(Type 2: : Type 1 + Commercial Use Prohibition)
Type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