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논문 검색
Type SCI
Year ~ Keyword

Detail

Journal Article RFID의 과제와 전망
Cited - time in scopus Download 55 time Share share facebook twitter linkedin kakaostory
Authors
김완석
Issue Date
2004-09
Citation
주간기술동향, v.1164, pp.1-9
ISSN
1225-6447
Publisher
정보통신기획평가원
Language
Korean
Type
Journal Article
Abstract
RFID 태그의 발전에는 여러 가지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RFID 태그와 관련한 문제들은 이용방법의 확립, 기술의 진보, 정책적 대응 등을 병행하는 해결책들이 나올 것이기 때문에 킬러앱으로서의 RFID 태그의 장래성은 큰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RFID 태그는 단순히 바코드를 대체할 자동인식 기술의 한 부분이 아니라 네트워크와 사물을 연결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응용의 중간자로서 발전과 활용이 더욱 부각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앞으로 1~2년이 RFID 비즈니스의 변혁기로 전망된다. 사물을 컴퓨터에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가 주목받고 있다. RFID는 직역하면 「무선 주파수 식별」로 IC(Integrated Circuit)칩을 내장하며 안테나를 통하여 데이터를 교신하는 매체이다. RFID는「RFID태그」ㆍ「무선태그」ㆍ「전자태그」ㆍ「RFID카드」ㆍ「IC카드」ㆍ「스마트태그」ㆍ「전자라벨」등으로 부르거나 이들과 같은 의미이다. RFID 태그는 생산에서 판매에 이르는 전과정의 정보를 초소형 IC칩에 내장시켜 이를 근거리 무선통신ㆍ인터넷ㆍ인공위성ㆍ이동통신망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로서 언젠가는 바코드를 대체할 차세대 기술로 불리고 있다. 일반적으로, RFID 태그는 전원을 가지지 않는 수동형(passive) 태그를 의미하며, 전원 혹은 CPU를 가지는 능동형(active) 태그와는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정보를 교환하는 기능적 측면에서는 수동형 RFID 태그와 능동형 RFID 태그는 거의 동일하다. 그래서 본 고에서는 수동형 RFID 태그나 능동형 RFID 태그를 같은 RFID 태그로 취급한다.
KSP Keywords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RFID), integrated circuit(IC)
This work is distributed under the term of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KOGL)
(Type 2: : Type 1 + Commercial Use Prohibition)
Type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