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논문 검색
Type SCI
Year ~ Keyword

Detail

Journal Article 인터넷 ID 관리 서비스 기술 동향
Cited - time in scopus Download 5 time Share share facebook twitter linkedin kakaostory
Authors
김승현, 진승헌, 정교일
Issue Date
2004-11
Citation
주간기술동향, v.1160, pp.1-7
ISSN
1225-6447
Publisher
정보통신기획평가원
Language
Korean
Type
Journal Article
Abstract
비 대면으로 거래를 해야 하는 인터넷 환경에서 자신의 존재를 증명할 수 있는 방법은, 신뢰할 수 있는 Identity를 보여주는 것이다. 하지만 인터넷 환경에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비스의 수가 증가하면 할수록 개인이 보유하는 Identity의 수는 늘어나고, 이들을 관리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억하는 것마저 힘들어지는 실정이다. 인터넷 ID(IDentity) 관리 서비스는 이러한 Identity 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인터넷의 모든 Identity를 연결하여 쉽고 편안하게 인터넷을 이용할 뿐만 아니라, 개인정보를 비롯한 Identity 정보를 쉽게 관리하는 것이 인터넷 ID관리 서비스의 목적이다. 현재 인터넷 ID 관리 서비스는 SAML, 리버티 얼라이언스, WS-* 와 같은 표준들과 패스포트, 3-D Secure, 시볼레, PingID 네트워크와 같은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본 고는 인터넷 ID 관리 서비스와 관련된 표준 및 서비스들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1969년 인터넷은 미국 국방부가 구축한 ARPANET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전세계 사람들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만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 되었다. 하지만 보안을 고려하지 않았던 인터넷의 초기 개념 때문에, 현재의 인터넷 환경은 유해 정보가 범람하고 남의 정보와 사생활을 엿보며 악용하는 위험한 상황에 처해지게 되었다. 이러한 인터넷 환경에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신빙성 있는 자신의 Identity를 유지해야 한다.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은 누구나 수많은 로그인을 하게 되는데, 로그인을 한다는 것은 나의 신원을 해당 사이트에 증명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이렇게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신원을 네트워크 Identity라고 한다.
KSP Keywords
Three dimensional(3D)
This work is distributed under the term of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KOGL)
(Type 2: : Type 1 + Commercial Use Prohibition)
Type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