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i Sakaguchi, Thomas Haustein, Sergio Barbarossa, Emilio Calvanese Strinati, Antonio Clemente, Giuseppe Destino, Aarno Parssinen, 김일규, 정희상, 김준형, Wilhelm Keusgen, Richard J. Weiler, Koji Takinami, Elena Ceci, Ali Sadri, Liang Xian, Alexander Maltsev, Gia Khanh Tran, Hiroaki Ogawa, Kim Mahler, Robert W. Heath Jr.
발행일
201710
출처
IEICE Transactions on Electronics, v.E100-C no.10, pp.790-808
Wireless engineers and business planners commonly raise the question on where, when, and how millimeter-wave (mmWave) will be used in 5G and beyond. Since the next generation network is not just a new radio access standard, but also an integration of networks for vertical markets with diverse applications, answers to the question depend on scenarios and use cases to be deployed. This paper gives four 5G mmWave deployment examples and describes in chronological order the scenarios and use cases of their probable deployment, including expected system architectures and hardware prototypes. The first example is a 28 GHz outdoor backhauling for fixed wireless access and moving hotspots, which will be demonstrated at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in 2018. The second deployment example is a 60 GHz unlicensed indoor access system at the Tokyo-Narita airport, which is combined with Mobile Edge Computing (MEC) to enable ultra-high speed content download with low latency. The third example is mmWave mesh network to be used as a micro Radio Access Network (쨉-RAN), for cost-effective backhauling of small-cell Base Stations (BSs) in dense urban scenarios. The last example is mmWave based Vehicular-to-Vehicular (V2V) and Vehicular-to-Everything (V2X) communications system, which enables automated driving by exchanging High Definition (HD) dynamic map information between cars and Roadside Units (RSUs). For 5G and beyond, mmWave and MEC will play important roles for a diverse set of applications that require both ultra-high data rat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식공유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각종 연구과제, 성과물 등)은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 무단복제 및 배포를 원칙적으로 금하고 있습니다. 저작물을 이용 또는 변경하고자 할 때는 다음 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작권법 제24조의2에 따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저작재산권의 전부를 보유한 저작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자유이용이 가능한 자료는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 기준(공공누리, KOGL) 제4유형"을 부착하여 개방하고 있으므로 공공누리 표시가 부착된 저작물인지를 확인한 이후에 자유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유이용의 경우에는 반드시 저작물의 출처를 구체적으로 표시하여야 하고 비영리 목적으로만 이용이 가능하며 저작물을 변형하거나 2차 저작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출처표시방법 안내> 작성자, 저작물명, 출처, 권호, 출판년도, 이용조건 [예시1] 김진미 외, "매니코어 기반 고성능 컴퓨팅을 지원하는 경량커널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32권 4호, 2017, 공공누리 제4유형 [예시2] 심진보 외, "제4차 산업 혁명과 ICT - 제4차 산업 혁명 선도를 위한 IDX 추진 전략", ETRI Insight, 2017, 공공누리 제 4유형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들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담당자와 사전협의한 이후에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