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MC2100, 잠재 역량 진단을 위한 감정특이점 기반 맞춤형 인지센싱 및 플랫폼 기술개발,
윤호섭
초록
Automatic engagement recognition is a technique that is used to measure the engagement level of people in a specific task. Although previous research has utilized expensive and intrusive devices such as physiological sensors and pressure-sensing chairs, methods using RGB video cameras have become the most common because of the cost efficiency and noninvasiveness of video cameras. Automatic engagement recognition methods using video cameras are usually based on hand-crafted features and a statistical temporal dynamics modeling algorithm. This paper proposes a data-drive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s)-based engagement recognition method that uses only facial images from input videos. As the amount of data in a dataset of children's engagement is insufficient for deep learning, pre-trained CNNs are utilized for low-level feature extraction from each video frame. In particular, a new layer combination for temporal dynamics modeling is employed to extract high-level features from low-level features. Experimental results on a database created using images of children from kindergarten demonstrate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superior to that of previous method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ngagement level of children can be gauged automatically via deep learning even when the available database is deficien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식공유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각종 연구과제, 성과물 등)은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 무단복제 및 배포를 원칙적으로 금하고 있습니다. 저작물을 이용 또는 변경하고자 할 때는 다음 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작권법 제24조의2에 따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저작재산권의 전부를 보유한 저작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자유이용이 가능한 자료는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 기준(공공누리, KOGL) 제4유형"을 부착하여 개방하고 있으므로 공공누리 표시가 부착된 저작물인지를 확인한 이후에 자유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유이용의 경우에는 반드시 저작물의 출처를 구체적으로 표시하여야 하고 비영리 목적으로만 이용이 가능하며 저작물을 변형하거나 2차 저작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출처표시방법 안내> 작성자, 저작물명, 출처, 권호, 출판년도, 이용조건 [예시1] 김진미 외, "매니코어 기반 고성능 컴퓨팅을 지원하는 경량커널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32권 4호, 2017, 공공누리 제4유형 [예시2] 심진보 외, "제4차 산업 혁명과 ICT - 제4차 산업 혁명 선도를 위한 IDX 추진 전략", ETRI Insight, 2017, 공공누리 제 4유형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들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담당자와 사전협의한 이후에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