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논문 검색
Type SCI
Year ~ Keyword

Detail

Journal Article 교육 분야 「국가디지털전환」 기획의 방향성 탐색
Cited - time in scopus Share share facebook twitter linkedin kakaostory
Authors
김신애, 방준성, 권희경
Issue Date
2018-12
Citation
한국교육, v.45, no.4, pp.173-200
ISSN
1599-2659
Publisher
한국교육개발원
Language
Korean
Type
Journal Article
Abstract
본 논문은 ‘I-KOREA 4.0 실현을 위한 2018년도 국가디지털전환 사업’내 교육 분야 기획의 방향성에 대한 성찰적 논의를 시도한 것이다. 교육 분야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DX)'은 교육정보화 사업과의 연계 하에 검토・추진될 필요가 있고, 수요 분석 또한 정보기술수용 과정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2008년 디지털교과서 도입과 관련된 학습 효과 논의들로 미루어 알 수 있듯이, 교육 분야 DX의 교육적 효과 분석은 평면적이지 않다. 본 논문은 교육 분야 DX의 기획 프레임으로 ‘개별 맞춤 역량-중심 교육’을 제시하였다. 2018년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시행 원년이며, 인공지능과 가상/증강현실 기술이 성숙기에 들어선 해로 평가된다. 이러한 시점에서 교육 분야 DX에서는 ‘지식-교육’보다는 ‘역량-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인공지능기반 가상체험공간을 기획해 볼 수 있다. 역량의 교육을 자동화된 디지털 매체가 담당할 수 있는지 아니면 기초 지식 교육을 인공지능이 담당하면 인간 교사가 프로젝트 학습을 통하여 역량 교육(예. High Touch High Tech Learning)을 할 수 있는지는 해당 기획의 방향성에 있어서 흥미로운 논쟁점이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교육 분야 DX가 소외 계층의 교육에 상당한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상기한다.
KSP Keywords
digital trans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