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HR4300, 교육미디어 3D 오버랩핑 및 멀티유저 동시 전송 실감 학습 시스템 개발,
정우석
초록
본 논문은 ‘I-KOREA 4.0 실현을 위한 2018년도 국가디지털전환 사업’내 교육 분야 기획의 방향성에 대한 성찰적 논의를 시도한 것이다. 교육 분야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DX)'은 교육정보화 사업과의 연계 하에 검토?추진될 필요가 있고, 수요 분석 또한 정보기술수용 과정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2008년 디지털교과서 도입과 관련된 학습 효과 논의들로 미루어 알 수 있듯이, 교육 분야 DX의 교육적 효과 분석은 평면적이지 않다. 본 논문은 교육 분야 DX의 기획 프레임으로 ‘개별 맞춤 역량-중심 교육’을 제시하였다. 2018년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시행 원년이며, 인공지능과 가상/증강현실 기술이 성숙기에 들어선 해로 평가된다. 이러한 시점에서 교육 분야 DX에서는 ‘지식-교육’보다는 ‘역량-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인공지능기반 가상체험공간을 기획해 볼 수 있다. 역량의 교육을 자동화된 디지털 매체가 담당할 수 있는지 아니면 기초 지식 교육을 인공지능이 담당하면 인간 교사가 프로젝트 학습을 통하여 역량 교육(예. High Touch High Tech Learning)을 할 수 있는지는 해당 기획의 방향성에 있어서 흥미로운 논쟁점이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교육 분야 DX가 소외 계층의 교육에 상당한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상기한다.
KSP 제안 키워드
digital transformation
저작권정책 안내문
한국전자동신연구원 지식공유플랫폼 저작권정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식공유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각종 연구과제, 성과물 등)은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 무단복제 및 배포를 원칙적으로 금하고 있습니다. 저작물을 이용 또는 변경하고자 할 때는 다음 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작권법 제24조의2에 따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저작재산권의 전부를 보유한 저작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자유이용이 가능한 자료는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 기준(공공누리, KOGL) 제4유형"을 부착하여 개방하고 있으므로 공공누리 표시가 부착된 저작물인지를 확인한 이후에 자유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유이용의 경우에는 반드시 저작물의 출처를 구체적으로 표시하여야 하고 비영리 목적으로만 이용이 가능하며 저작물을 변형하거나 2차 저작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출처표시방법 안내> 작성자, 저작물명, 출처, 권호, 출판년도, 이용조건 [예시1] 김진미 외, "매니코어 기반 고성능 컴퓨팅을 지원하는 경량커널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32권 4호, 2017, 공공누리 제4유형 [예시2] 심진보 외, "제4차 산업 혁명과 ICT - 제4차 산업 혁명 선도를 위한 IDX 추진 전략", ETRI Insight, 2017, 공공누리 제 4유형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들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담당자와 사전협의한 이후에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