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나라의 통신 요금이 적절한 수준인가에 대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논의를 거치고 있다. 본 연구는이동통신 서비스 효율성을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자의 지불 비용 대비 사용자 편익 수준으로 조작적 정의하여, OECD 국가 간으로 비교하고자 한다. 자료포락분석 방법론인 투입지향 CRS, VRS, SSBM 및 부트스트랩 DEA를활용하여 30개 국가의 이동통신 서비스의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해당 방법론의 투입요소인 이동통신 서비스 지불비용은 단말기 비용(보급, 고급형)과 통신 바스켓 별 요금(30calls/100MB, 300calls/1GB, 900calls/2GB)을 고려하였다. 산출요소인 이동통신 서비스 사용자 편익은 이동통신 서비스 품질 관련 지표(4G 실제 다운로드 속도, 4G 커버리지, 무선 가입자 비율)와 활용도 관련 지표(마이크로 모먼츠, 의존도)로 고려하였다. 투입지향 CRS, VRS, SSBM DEA 분석 결과, 우리나라 이동통신 요금 대비 편익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트스트랩DEA 분석 결과, 통계적 95% 신뢰수준의 상한은 1위, 하한은 29위, 편의 조정 효율성은 19위 수준으로 OECD 30개국 중에 가장 큰 편차를 가지며, 앞선 DEA 결과들과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비용요소들 간의 불균형 상태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해당 연구는 요금 수준 비교 연구에서 비요금적 요소를 통합적으로 고려한 연구로 현재 이동통신 요금 규제에 대한 많은 사회적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저작권정책 안내문
한국전자동신연구원 지식공유플랫폼 저작권정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식공유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각종 연구과제, 성과물 등)은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 무단복제 및 배포를 원칙적으로 금하고 있습니다. 저작물을 이용 또는 변경하고자 할 때는 다음 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작권법 제24조의2에 따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저작재산권의 전부를 보유한 저작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자유이용이 가능한 자료는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 기준(공공누리, KOGL) 제4유형"을 부착하여 개방하고 있으므로 공공누리 표시가 부착된 저작물인지를 확인한 이후에 자유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유이용의 경우에는 반드시 저작물의 출처를 구체적으로 표시하여야 하고 비영리 목적으로만 이용이 가능하며 저작물을 변형하거나 2차 저작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출처표시방법 안내> 작성자, 저작물명, 출처, 권호, 출판년도, 이용조건 [예시1] 김진미 외, "매니코어 기반 고성능 컴퓨팅을 지원하는 경량커널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32권 4호, 2017, 공공누리 제4유형 [예시2] 심진보 외, "제4차 산업 혁명과 ICT - 제4차 산업 혁명 선도를 위한 IDX 추진 전략", ETRI Insight, 2017, 공공누리 제 4유형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들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담당자와 사전협의한 이후에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