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HH5400, O2O 서비스를 위한 무자각 증강인증 및 프라이버시가 보장되는 블록체인 ID 관리 기술 개발,
김수형
초록
Fuzzy authentication uses non-deterministic or noisy data, like biometrics, as an authentication factor. Although the data is extracted from the same individual or source, it can be different for each measurement. As a result, one of the main issues in fuzzy authentication is the effective processing of the fuzziness, while guaranteeing the privacy of the fuzzy data. Biometric data is a typical user-generated fuzzy data and the fuzzy extractor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primitives for biometric authentication these days. In 2016, Canetti et al. proposed the reusable fuzzy extractor, in which multiple keys can be generated with the same biometric data. It can also handle some outliers which occur unexpectedly (owing to an external interference when acquiring the fuzzy data, for example, the presence of dust on a fingerprint image). However, the size of the user's helper data in the reusable fuzzy extractor is quite large. This makes the network bandwidth usage required in the online authentication phase (or the storage required on the user side) considerable, which inconveniences the user.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primitive for fuzzy authentication, called a fuzzy vector signature (FVS) scheme, which significantly alleviates the burden on the user side. This means that the network bandwidth usage (or the amount of storage required on the user side) is significantly reduced. The proposed FVS scheme is reusable and robust to outliers as well. Finally, we provide a privacy-preserving fuzzy authentication protocol based on the FVS schem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식공유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각종 연구과제, 성과물 등)은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 무단복제 및 배포를 원칙적으로 금하고 있습니다. 저작물을 이용 또는 변경하고자 할 때는 다음 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작권법 제24조의2에 따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저작재산권의 전부를 보유한 저작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자유이용이 가능한 자료는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 기준(공공누리, KOGL) 제4유형"을 부착하여 개방하고 있으므로 공공누리 표시가 부착된 저작물인지를 확인한 이후에 자유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유이용의 경우에는 반드시 저작물의 출처를 구체적으로 표시하여야 하고 비영리 목적으로만 이용이 가능하며 저작물을 변형하거나 2차 저작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출처표시방법 안내> 작성자, 저작물명, 출처, 권호, 출판년도, 이용조건 [예시1] 김진미 외, "매니코어 기반 고성능 컴퓨팅을 지원하는 경량커널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32권 4호, 2017, 공공누리 제4유형 [예시2] 심진보 외, "제4차 산업 혁명과 ICT - 제4차 산업 혁명 선도를 위한 IDX 추진 전략", ETRI Insight, 2017, 공공누리 제 4유형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들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담당자와 사전협의한 이후에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