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rtwatches have gained significant popularity in recent years. One major use of smartwatches is notification checking as an extended display. Smartwatch use provides an opportunity for energy saving because it affords a reduction in the frequency of smartphone use. However, sometimes user input is limited in smartwatches due to its small screen size and users are forced to use their smartphones to fully read notifications. In such cases, the advantage of an extended display in the smartwatch diminishes because users need to access their smartphones, which causes extra smartphone battery consumption. We define phone-preferable notification that requires a user to take further actions, such as checking detailed content and replying to a message. Given that phone-preferable notifications are likely to be handled on smartphones, it is possible to defer notification delivery to smartwatches. In this paper, we develop a novel notification manager, called PASS that automatically defers phone-preferable notifications and piggybacks them on watch-preferable notifications. For model building and evaluation, we collect 15,659 notifications in-the-wild from 11 users for approximately 31 days. In addition, for approximately two months we gather self-reported data from five users regarding which devices were used to respond to notifications. The results show that PASS can save daily battery for smartwatches and daily battery for smartphones up to 43.5 and 0.9 percent without introducing any noticeable negative results on user experiences.
KSP 제안 키워드
Battery Consumption, Energy saving, In-the-wild, Negative results, Smartphone Use, User input, model building, screen size, smartphone battery, user experience
저작권정책 안내문
한국전자동신연구원 지식공유플랫폼 저작권정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식공유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각종 연구과제, 성과물 등)은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 무단복제 및 배포를 원칙적으로 금하고 있습니다. 저작물을 이용 또는 변경하고자 할 때는 다음 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작권법 제24조의2에 따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저작재산권의 전부를 보유한 저작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자유이용이 가능한 자료는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 기준(공공누리, KOGL) 제4유형"을 부착하여 개방하고 있으므로 공공누리 표시가 부착된 저작물인지를 확인한 이후에 자유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유이용의 경우에는 반드시 저작물의 출처를 구체적으로 표시하여야 하고 비영리 목적으로만 이용이 가능하며 저작물을 변형하거나 2차 저작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출처표시방법 안내> 작성자, 저작물명, 출처, 권호, 출판년도, 이용조건 [예시1] 김진미 외, "매니코어 기반 고성능 컴퓨팅을 지원하는 경량커널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32권 4호, 2017, 공공누리 제4유형 [예시2] 심진보 외, "제4차 산업 혁명과 ICT - 제4차 산업 혁명 선도를 위한 IDX 추진 전략", ETRI Insight, 2017, 공공누리 제 4유형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들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담당자와 사전협의한 이후에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