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l keypoint matching is an important step for computer vision based tasks. In recent years,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based strategies have been employed to learn descriptor generation to enhance keypoint matching accuracy. Recent state-of-art works in this direction primarily rely upon a triplet based loss function (and its variations) utilizing three samples: An anchor, a positive and a negative. In this work we propose a novel 'Twin Negative Mining' based sampling strategy coupled with a Quad loss function to train a deep neural network based pipeline (Twin-Net) for generating a robust descriptor that provides an increased discriminatory power to differentiate between patches that do not correspond to each other. Our sampling strategy and choice of loss function is aimed at placing an upper bound that descriptors of two patches representing same location could be at worst no more dissimilar than the descriptors of two similar looking patches that do-not belong to same 3D location. This results in an increase in the generalization capability of the network and outperforms its existing counterparts when trained over the same datasets. Twin-Net outputs a 128-dimensional descriptor and uses $L{2}$ Distance as the similarity metric, and hence conforms to the classical descriptor matching pipelines such as that of SIFT. Our results on Brown and HPatches datasets demonstrate Twin-Net's consistently better performance as well as better discriminatory and generalization capability as compared to the state-of-art.
KSP 제안 키워드
3D location, Belong to, Computer Vision(CV), Convolution neural network(CNN), Coupled with,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Deep neural network(DNN), Descriptor matching, Generalization capability, Local keypoint, Matching accuracy
저작권정책 안내문
한국전자동신연구원 지식공유플랫폼 저작권정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식공유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각종 연구과제, 성과물 등)은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 무단복제 및 배포를 원칙적으로 금하고 있습니다. 저작물을 이용 또는 변경하고자 할 때는 다음 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작권법 제24조의2에 따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저작재산권의 전부를 보유한 저작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자유이용이 가능한 자료는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 기준(공공누리, KOGL) 제4유형"을 부착하여 개방하고 있으므로 공공누리 표시가 부착된 저작물인지를 확인한 이후에 자유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유이용의 경우에는 반드시 저작물의 출처를 구체적으로 표시하여야 하고 비영리 목적으로만 이용이 가능하며 저작물을 변형하거나 2차 저작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출처표시방법 안내> 작성자, 저작물명, 출처, 권호, 출판년도, 이용조건 [예시1] 김진미 외, "매니코어 기반 고성능 컴퓨팅을 지원하는 경량커널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32권 4호, 2017, 공공누리 제4유형 [예시2] 심진보 외, "제4차 산업 혁명과 ICT - 제4차 산업 혁명 선도를 위한 IDX 추진 전략", ETRI Insight, 2017, 공공누리 제 4유형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들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담당자와 사전협의한 이후에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