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arallax artifacts introduced due to movement of objects across different views in the overlapping area drastically degrade the video stitching quality. To alleviate such visual artifacts, this paper extend our earlier video stitching framework혻[1] by replacing a deep learning based object detection algorithm for parallax detection, and an optical flow estimation algorithm for parallax correction. Given a set of multi-view overlapping videos, the geometric look-up tables (G-LUT) are generated by stitching a reference frame from the multi-view input videos, which map the input video frames to the panorama domain. We propose to use a deep learning based approach to detect the moving objects in the overlapping area to identify the G-LUT control points which get affected by parallax. To compute the optimal locations of these parallax affected G-LUT control points we propose to use patch-match based optical flow (CPM-flow). The adjustment of G-LUT control points in the overlapping area may cause some unwanted geometric distortions in the non-overlapping area. Therefore, the G-LUT control points in close proximity of moving objects are also updated to ensure the smooth geometric transition between the overlapping and the non-overlapping area. Experimental results on challenging video sequences with very narrow overlapping areas (~3% to ~10%) demonstrate that video stitching framework with the proposed parallax minimization scheme can significantly suppress the parallax artifacts occurring due to the moving objects. In comparison to our previous work, the computational time is reduce by ~26% with the proposed scheme, while the stitching quality is also marginally improved.
KSP 제안 키워드
Computational time, Control Points, Detection algorithm, Geometric Distortion, Moving Object, Multi-view, Object detection, Optical flow estimation, Patch-match, Reference frame, Video Stitching
저작권정책 안내문
한국전자동신연구원 지식공유플랫폼 저작권정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식공유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각종 연구과제, 성과물 등)은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 무단복제 및 배포를 원칙적으로 금하고 있습니다. 저작물을 이용 또는 변경하고자 할 때는 다음 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작권법 제24조의2에 따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저작재산권의 전부를 보유한 저작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자유이용이 가능한 자료는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 기준(공공누리, KOGL) 제4유형"을 부착하여 개방하고 있으므로 공공누리 표시가 부착된 저작물인지를 확인한 이후에 자유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유이용의 경우에는 반드시 저작물의 출처를 구체적으로 표시하여야 하고 비영리 목적으로만 이용이 가능하며 저작물을 변형하거나 2차 저작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출처표시방법 안내> 작성자, 저작물명, 출처, 권호, 출판년도, 이용조건 [예시1] 김진미 외, "매니코어 기반 고성능 컴퓨팅을 지원하는 경량커널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32권 4호, 2017, 공공누리 제4유형 [예시2] 심진보 외, "제4차 산업 혁명과 ICT - 제4차 산업 혁명 선도를 위한 IDX 추진 전략", ETRI Insight, 2017, 공공누리 제 4유형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들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담당자와 사전협의한 이후에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