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정책집행주체가 정책대상집단의 지위를 동시에 갖는 경우 정책집행의 수용행태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 가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여성과학기술인 활용정책의 정책성과가 낮은 원인이 해당 정책의 주요 정책집행주체인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정책수용도가 낮은 것에 있을 것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시 작하였다. 여성과학기술인 정책은 2002년 관련 법률이 제정되기 전부터 시작되어 2018년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시 행되어 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성과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여러 연구에 서도 이를 지적하고 있지만, 성과가 부족한 원인을 명확히 밝히지는 못하고 있다. 한편, 여성과학기술인 활 용정책의 주요 정책집행주체인 정부출연연구기관은 정책집행주체이자 정책대상집단이라는 이중적 지위에 놓여있다. 이는 정책집행주체가 해당 정책의 수용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표면적으로 정책에 순응 하여 정책집행이 성공한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 정책집행의 성과가 높지 않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과학기술인 활용정책의 정책집행주체에 주목하여 이들의 정책수용이 낮은 것을 여성과학기술인 정책의 성과가 낮은 원인으로 지적하였다. 정책집행주체의 이중성과 수용행태의 관계를 고 찰하여 정책집행주체로서의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정책수용이 낮은 원인을 분석하고 앞으로 여성과학기술인 정책의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저작권정책 안내문
한국전자동신연구원 지식공유플랫폼 저작권정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식공유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각종 연구과제, 성과물 등)은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 무단복제 및 배포를 원칙적으로 금하고 있습니다. 저작물을 이용 또는 변경하고자 할 때는 다음 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작권법 제24조의2에 따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저작재산권의 전부를 보유한 저작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자유이용이 가능한 자료는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 기준(공공누리, KOGL) 제4유형"을 부착하여 개방하고 있으므로 공공누리 표시가 부착된 저작물인지를 확인한 이후에 자유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유이용의 경우에는 반드시 저작물의 출처를 구체적으로 표시하여야 하고 비영리 목적으로만 이용이 가능하며 저작물을 변형하거나 2차 저작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출처표시방법 안내> 작성자, 저작물명, 출처, 권호, 출판년도, 이용조건 [예시1] 김진미 외, "매니코어 기반 고성능 컴퓨팅을 지원하는 경량커널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32권 4호, 2017, 공공누리 제4유형 [예시2] 심진보 외, "제4차 산업 혁명과 ICT - 제4차 산업 혁명 선도를 위한 IDX 추진 전략", ETRI Insight, 2017, 공공누리 제 4유형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들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담당자와 사전협의한 이후에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