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ENGLISH

성과물

논문 검색
구분 SCI
연도 ~ 키워드

상세정보

학술지 혁신 네트워크 및 디지털기술 요인을 중심으로 한 지역 간 혁신 효율성 차이 분석
Cited - time in scopus Download 12 time Share share facebook twitter linkedin kakaostory
저자
김주성, 민수진
발행일
202008
출처
기술혁신학회지, v.23 no.4, pp.793-814
ISSN
1598-2912
출판사
한국기술혁신학회
협약과제
20ZR1400, 국가지능화 기술정책 및 표준화 연구, 이지형
초록
정부는 혁신 측면의 지역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으로 지역 R&D를 위한 투자를 확대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혁신 환경의 차이로 인해 지역 간 혁신 투자 효율성 측면의 성과 차이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two-stage DEA(Data Envelopment Analysis)를 사용하여 국내 16개 시·도의 혁신 효율성을 지식 및 가치창출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의 혁신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혁신 네트워크 및 디지털기술 요인에 따라 지역별 효율성에 차이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비모수적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 네트워크 규모가 큰 지역의 경우 규모가 작은 지역보다 가치창출 효율성이 더 높았다. 다음으로 기업의 디지털기술 활용률이 높은 지역의 경우 활용률이 낮은 지역에 비해 지식창출 효율성이 더 높았다. 또한 본 연구는 혁신 네트워크 규모가 작더라도 디지털기술 활용률이 높으면 지식창출 효율성이 높은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혁신주체들의 디지털 기술의 활용을 촉진하고 혁신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지역의 지식과 가치 창출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SP 제안 키워드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Two-stage D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