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논문 검색
Type SCI
Year ~ Keyword

Detail

Conference Paper 사용자 감정 인식과 공감적 대화 생성: ChatGPT와 소형 언어 모델 비교
Cited - time in scopus Share share facebook twitter linkedin kakaostory
Authors
허승훈, 이정민, 조민수, 권오욱, 황금하
Issue Date
2024-05
Citation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 발표 대회 (춘계) 2024, pp.1-4
Publisher
한국정보처리학회 (KIPS)
Language
Korean
Type
Conference Paper
Abstract
본 연구는 대형 언어 모델 (LLM) 시대에 공감적 대화 생성을 위한 감정 인식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소형 언어 모델 (SLM)을 통한 미세 조정 학습이 고비용 LLM, 특히 ChatGPT의 대안이 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이를 위해 KoBERT 미세 조정 모델과 ChatGPT를 사용하여 사용자 감정을 인식하고, Polyglot-Ko 미세 조정 모델 및 ChatGPT를 활용하여 공감적 응답을 생성하는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KoBERT 기반의 감정 분류기는 ChatGPT의 zero-shot 접근 방식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였으며, 정확한 감정 분류가 공감적 대화의 질을 개선하는 데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공감적 대화 생성을 위해 감정 인식이 여전히 필요하며, SLM의 미세 조정이 고비용 LLM의 실용적 대체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SP Keywords
Zero-s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