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HB1600, 초고속 통신 및 영상 신호처리를 위한 광/THz 원천기술 연구개발,
송민협
초록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료의 깊이 영상 및 평면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영상 획득 장치는 테라헤르츠파를 생성하는 빔 소스(beam source); 상기 빔 소스에서 출력되는 상기 테라헤르츠파의 각도보다 상기 테라헤르츠파의 각도를 확장하는 빔 확장기(beam expander); 상기 빔 확장기를 투과한 테라헤르츠파의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테라헤르츠파의 진행하는 방향을 조절하는 빔 스플리터(beam splitter); 상기 방향이 조절된 테라헤르츠파가 시료(sample)에서 반사되고, 상기 시료에서 반사된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한 빔 스플리터로부터 출력되는 테라헤르츠파를 수신하여, 산란된 테라헤르츠파를 출력하는 빔 산란기(beam diffuser); 상기 빔 산란기에서 산란된 테라헤르츠파의 초점 위치를 결정하는 텔레센트릭 렌즈(telecentric f-θ lens); 상기 텔레센트릭 렌즈를 투과한 상기 테라헤르츠파를 반사하는 빔 스캐너(beam scanner); 및 상기 시료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빔 스캐너에서 상기 반사된 테라헤르츠파를 검출하는 빔 검출기(beam det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식공유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각종 연구과제, 성과물 등)은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 무단복제 및 배포를 원칙적으로 금하고 있습니다. 저작물을 이용 또는 변경하고자 할 때는 다음 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작권법 제24조의2에 따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저작재산권의 전부를 보유한 저작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자유이용이 가능한 자료는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 기준(공공누리, KOGL) 제4유형"을 부착하여 개방하고 있으므로 공공누리 표시가 부착된 저작물인지를 확인한 이후에 자유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유이용의 경우에는 반드시 저작물의 출처를 구체적으로 표시하여야 하고 비영리 목적으로만 이용이 가능하며 저작물을 변형하거나 2차 저작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출처표시방법 안내> 작성자, 저작물명, 출처, 권호, 출판년도, 이용조건 [예시1] 김진미 외, "매니코어 기반 고성능 컴퓨팅을 지원하는 경량커널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32권 4호, 2017, 공공누리 제4유형 [예시2] 심진보 외, "제4차 산업 혁명과 ICT - 제4차 산업 혁명 선도를 위한 IDX 추진 전략", ETRI Insight, 2017, 공공누리 제 4유형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들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담당자와 사전협의한 이후에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