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단행본 검색
Type Keyword

Detail

[기술정책 이슈] 미디어 산업의 기회와 도약 : 메타버스(Metaverse)
Download 1062 time
Authors
석왕헌
Issue Date
2021-10
Type
ETRI Insight
Keyword
실감형 가상 미디어, 실감 미디어
DOI
10.22648/ETRI.2021.B.000047 
Abstract
미디어 산업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환경 조성으로 가정 내 생활 시간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미디어 기반 서비스의 이용률이 크게 증가하였다. OTT 서비스 이용률이 급증하고, 영상회의 앱과 모바일 커머스의 활용도도 확대되고 있다. 전 세대에 걸친 스마트폰 보유율 증가로 스마트폰이 필수 매체로 자리잡았으며, 이는 매체 이용의 개인화와 소셜앱 중심의 의사소통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OTT, 1인 미디어 등 새로운 미디어의 확산으로 선택의 다양성이 증대되고, 콘텐츠 제작자의 다각화로 미디어 민주화가 진행 중이다. 최근에는 게임과 SNS 콘텐츠를 중심으로 메타버스 관련 미디어 서비스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메타버스는 'META'와 '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 세계와 같은 사회적·경제적 활동이 가능한 3차원 가상공간을 의미한다. 다양한 서비스가 융합되어 현실과 가상공간을 아우르는 메타버스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주요 미디어 기업과 기관들은 메타버스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메타버스 서비스는 게임, SNS,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고 있으며, 현실적 경제활동 제공, 마케팅 도구로의 활용성 증대,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참여 확대 등이 주요 특징이다. 비즈니스 모델은 콘텐츠 제작 및 판매 수수료, 미디어 중계 수수료, 마케팅 수수료, 구독료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메타버스 생태계 내에서는 제작 및 서비스, 클라우드, 디바이스 등 다양한 주체 간의 주도권 경쟁이 심화될 전망이며, 서비스의 중대형화, 클라우드 서비스의 중요성 확대, 초실감형 콘텐츠 제작 확대 등을 통해 서비스 주도권 확보 경쟁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work is distributed under the term of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KOGL)
(Type 4: : Type 1 + Commercial Use Prohibition+Change Prohibition)
Type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