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단행본 검색
Type Keyword

Detail

[기술정책 트렌드] 코로나19 발생 이후 소비자 트렌드와 Next ICT 아젠다
Download 2188 time
Authors
홍수지
Issue Date
2021-12
Type
ETRI Insight
DOI
10.22648/ETRI.2021.B.000099 
Abstract
MZ 세대를 중심으로 투자와 소비를 동시에 하는 '인베슈머' 소비 행태가 나타나고 있으며, 자신의 신념과 가치에 따라 소비하는 '가치소비'와 '미닝아웃' 소비 현상이 확산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단순히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넘어, 소비와 사회적 가치의 연결을 원하며, 이에 따라 인베슈머 소비가 성장하고 있다. 인베슈머는 투자자와 소비자가 하나가 되는 새로운 소비 형태로, MZ 세대의 지속가능성과 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업의 비재무적 가치 이슈가 부각되고 있다. 디지털 환경에서 경제적 거래가 증가함에 따라 NFT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NFT는 디지털 소유 증명서로서 플랫폼 경제와 프로토콜 경제의 발전과 함께 주요 기술로 부상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코로나 블루가 확산되면서 정신적 스트레스가 증가하였고, 이를 치유하기 위한 디지털 치료제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홈퍼니싱 시장이 성장하고, 기술을 통한 새로운 경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혼자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자신을 위해 소비하는 포미족과 원하는 품목에만 호화로움을 추구하는 야누스 소비족이 등장하였으며, 고사양 프리미엄 단말기와 저가형 단말기 시장이 동시에 성장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식물 기반 재료, 대체육, 3D 프린터 제조 식품 등 기술과 식품이 접목된 푸드테크 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3D 식품 프린터와 스마트팜을 통해 식량 문제 해결이 기대되고 있다.
This work is distributed under the term of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KOGL)
(Type 4: : Type 1 + Commercial Use Prohibition+Change Prohibition)
Type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