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단행본 검색
Type Keyword

Detail

[기술정책 이슈] 탄소 중립 시대의 ICT: 기회와 도전
Download 3661 time
Authors
최새솔
Issue Date
2021-12
Type
ETRI Insight
DOI
10.22648/ETRI.2021.B.000136 
Abstract
기후변화 대응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인류생존의 문제로, 세계는 탄소중립 패러다임으로 급속히 전환하고 있다. 지구 기온 상승과 기상이변 등으로 인해 탄소중립 이행은 현실적 과제가 되었으며, 우리나라도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하였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IoT 등 ICT 혁신은 다양한 분야에서 기후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디지털 전환과 맞물려 ICT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ICT의 에너지 소비 증가와 산업 자체의 친환경화 필요성도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였다. 본 연구는 탄소중립이라는 메가트렌드에 따라 ICT 산업의 기회와 도전을 검토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계 각국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산업 규제와 ESG 경영 확산, 산업계의 자발적 노력, 국제 공조 등이 활발하다. ICT/AI 기술은 에너지 효율 향상, 재생에너지 전환, 수요예측, 공정 최적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탄소 저감과 기후변화 적응, 탄소중립 인프라 구축에 기여하고 있다. ICT 산업 내에서는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소비자 단말 등 세부 기술별로 에너지 효율화와 탄소 저감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내 기업의 대응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전문가 의견에 따르면, ICT가 경제성장과 탄소 배출의 탈동조화를 견인하는 역할을 해야 하며, ICT 중심의 종합적인 탄소중립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ICT/AI 기반의 공정하고 투명한 탄소 배출 측정·예측·검증 기술 개발, 에너지효율 향상, 순환경제 활성화, 중소기업 지원 등도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된다.
This work is distributed under the term of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KOGL)
(Type 4: : Type 1 + Commercial Use Prohibition+Change Prohibition)
Type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