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단행본 검색
Type Keyword

Detail

[Insight Report] IoT 산업 경쟁력 강화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전문가 인식 비교
Download 537 time
Authors
박종현
Issue Date
2016-12
Type
ETRI Insight
DOI
10.22648/ETRI.2016.B.000023 
Abstract
IoT(Internet of Things)는 사람, 사물, 이동체, 공간, 데이터 등 모든 것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정보가 생성·수집·공유·활용되는 초연결 인터넷을 의미한다. IoT는 빅데이터, 인공지능과의 결합을 통해 제4차 산업혁명을 견인할 인프라로, 공공분야의 서비스 혁신, 산업분야의 생산성 및 효율성 증대, 개인분야의 삶의 질 제고 등 다양한 활용을 통해 국가와 사회의 현안 해결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다. 글로벌 주요 컨설팅과 연구기관에 따르면, 센서 네트워킹과 연결 디바이스의 폭증에 따라 국내외 IoT 시장은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규모 예측치는 기관별로 차이가 있으나, 2020년까지 세계 IoT 산업의 고성장을 대부분 공통적으로 전망하고 있다. 주요 국가들은 IoT를 미래 사회와 산업을 혁신시킬 새로운 동력으로 보고, 국가 차원의 정책지원과 산업육성에 집중하고 있다. 글로벌 주요 기업들은 플랫폼,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개발, 표준 선점에 주력하며, 개방형 생태계를 지향하고 있다. 한국과 중국의 IoT 산업역량 비교를 위해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현재 중국의 IoT 산업역량은 한국 대비 73.8% 수준이나, 향후 SW 플랫폼, 글로벌 진출역량, 상용화, 제조, 정부지원 분야에서 격차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전문가들은 산업생태계와 관련 분야 지원을, 중국 전문가들은 기술개발과 시장확산을 핵심요인으로 꼽았다. IoT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보안 역량 강화, 글로벌 표준 확보, 센서 기술 경쟁력 제고, 중소기업 상용화 촉진, 창업-사업화 연계 인프라 구축 등이 필요하다.
This work is distributed under the term of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KOGL)
(Type 4: : Type 1 + Commercial Use Prohibition+Change Prohibition)
Type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