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단행본 검색
Type Keyword

Detail

[Insight Report] ICT 투자와 GDP 증대 간의 상호관계 연구
Download 453 time
Authors
김방룡
Issue Date
2016-12
Type
ETRI Insight
DOI
10.22648/ETRI.2016.B.000038 
Abstract
Solow(1987)는 ICT 투자가 생산성 향상을 초래하는지 그 효과는 불확실하다고 하였으며, 이를 '정보 생산성 역설'이라 부른다. 1980년대 이전의 실증연구에서는 ICT 투자의 생산성이 마이너스로 나타났으나, 1990년대 이후에는 반대의 결과가 많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에도 ICT 투자가 경제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연구도 적지 않다. 이는 국가의 발전 단계나 분석 대상 기간에 따라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에 실증분석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1999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의 계절 조정된 분기별 시계열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의 ICT 투자와 GDP 증대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두 변수 간에 공적분 관계가 존재함을 확인하였기에, 표준적인 Granger-인과성 검정 대신 벡터수정모형(Vector Error Correction Model)을 통해 인과성 여부를 판단하였다. 분석 결과, ICT 투자로부터 GDP 증대로의 단기 인과성을 제외하고는 양방향으로 장·단기 인과성 및 강 인과성이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이는 ICT 산업에 대한 투자가 한국의 경제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경제 성장에 따라 ICT 투자도 증가함을 입증한다. 다만, ICT 투자 침체가 장기간 지속될 경우 단기뿐 아니라 장기적으로도 ICT 투자가 GDP 증대에 인과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This work is distributed under the term of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KOGL)
(Type 4: : Type 1 + Commercial Use Prohibition+Change Prohibition)
Type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