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단행본 검색
Type Keyword

Detail

[ICT정책 이슈&트렌드] 6G 주파수 발굴 확보 및 IMT 주파수 동향
Download 2790 time
Authors
장재혁
Issue Date
2024-06
Type
ETRI Insight
DOI
10.22648/ETRI.2024.B.000004 
Abstract
ITU-R에서는 2023년 6월 IMT-2030 Framework(6G 비전) 권고안을 발표하였으며, IMT-2030 목표 서비스는 기존 5G 기반 서비스의 확장과 6G 신규 결합서비스로 정의된다. WRC-23에서는 3~11GHz 5개 대역에서 IMT 주파수가 추가 지정되었고, 4개 대역에서 6G 후보 주파수 연구의제가 채택되었다. 6G 후보 대역의 IMT 주파수 지정 여부는 WRC-27에서 결정될 예정이다. 본 보고서는 기존 IMT 주파수 대역의 효율적 활용, 기술발전, 국제 이용동향, 국내 수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6G 후보 주파수의 발굴, 확보, 공급 정책방안을 논의한다. 6G 신규 대역은 Lower Mid-band(3~7GHz)와 Upper Mid-band(7~24GHz)에 집중되며, 기존 IMT 대역은 대역정비, CA, Dual/Multi-connectivity 등을 통해 6G 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다. Lower Mid-band는 대역정비를 통한 신규 확보, Upper Mid-band는 기존 시스템과의 주파수 공유를 통해 가용성 확보에 중점을 둔다. 다양한 6G 서비스 지원을 위해 저·중·고대역 주파수 포트폴리오 구성이 필요하며, 6G 주파수는 집성 및 기술 공존을 통해 Sub-THz 이하의 모든 대역 활용이 원칙이다. WRC는 6G 시스템에서의 용량, 속도, 커버리지, 기존 대역정비 등을 고려하여 6G 주파수 준비에 착수하였다. 적시에 6G 주파수를 선제적으로 확보·공급하기 위해 후보대역 연구, 국내 가용 주파수 발굴, 후보기술 발전 등에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하며, 5G/6G 서비스는 미래 기술 주도 섹터의 하나로서 발전이 모색되고 있다.
This work is distributed under the term of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KOGL)
(Type 4: : Type 1 + Commercial Use Prohibition+Change Prohibition)
Type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