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단행본 검색
Type Keyword

Detail

[Insight Report] 사회적 격차 해소 관련 잠재 이슈 및 R&D 과제 분석 : 키워드 분석과 토픽 모델링 활용
Download 571 time
Authors
안춘모
Issue Date
2018-12
Type
ETRI Insight
DOI
10.22648/ETRI.2018.B.000047 
Abstract
기술의 발전으로 인간의 삶은 다양화되고 편리해지고 있지만, 발전된 기술을 충분히 누릴 수 없는 기술 공급·소비의 사각지대가 여전히 존재한다. 정보통신 부문 연구개발은 경제·산업적 성공뿐만 아니라 기술 소외 계층 해소, 사회문제 해결, 공익 실현 등 다양한 역할을 해왔으며, 이에 대한 고민이 지속되고 있다. 본 보고서는 사회적 격차 해소에 대한 잠재 이슈를 도출하고 국가연구개발과제와의 상호 연계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를 위해 빅데이터 기반의 텍스트마이닝 분석(키워드 분석, 토픽 모델링 등)을 활용하였다. 뉴스 기사(디지털타임즈, 네이버 IT/과학)와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수요 측면의 잠재 이슈와 공급 측면의 국가연구개발과제 현황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소외계층, 장애인, 어린이, 청소년, 중소기업 등 다양한 계층에서 사회적 격차 이슈가 고르게 출현하였으며, 국가연구개발과제에서는 양극화, 다문화, 고령화, 정보격차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사회적 격차 해소를 위한 연구개발 투자는 사회적 비용을 낮추고 국가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기술로 인한 격차 해소와 수요자-개발자 연계형 이슈 발굴, 공공과 기업의 협력적 참여가 필요하다.
This work is distributed under the term of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KOGL)
(Type 4: : Type 1 + Commercial Use Prohibition+Change Prohibition)
Type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