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단행본 검색
Type Keyword

Detail

[기술정책 트렌드] 국내 이동 통신 데이터 트래픽 Trend 분석
Download 1800 time
Authors
조은진, 변재호
Issue Date
2020-09
Type
ETRI Insight
DOI
10.22648/ETRI.2020.B.000014 
Abstract
5G 서비스 출시(2019년 4월)로부터 1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이용자 특성을 고려한 이동통신 서비스별 데이터 트래픽 추세 변화를 시각적으로 분석하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12년부터 전기통신사업법 제88조에 근거하여 무선데이터 트래픽 통계를 발표하고 있으며, 트래픽은 이동통신 시장을 대표하는 지표로 주파수 수요공급, 네트워크 관리, 통신경쟁정책, 가입자 이용 행태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무선데이터 트래픽 통계는 표로 작성되어 있어 종합적이고 입체적인 분석에 한계가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 시각화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본고는 이용자 특성을 고려하여 헤비유저 유형, 요금제 유형, 단말기 유형, 콘텐츠 유형별 트래픽 규모 현황 및 변화를 분석하고, 이동통신 서비스별 트래픽 특성을 비교하였다. 2020년 6월 기준, 3G 트래픽은 거의 전무하며, 4G는 전체 트래픽의 70%를 차지하나 5G 출시 이후 정체되고 있다. 5G는 전체 트래픽의 28%로 출시 이후 급성장하였다. 무제한 요금제 트래픽 비중은 5G에서 82%, 4G에서 75% 이상, 3G에서 60% 수준이다. 헤비유저(상위 10%)의 트래픽 비중은 3G 99%, 4G 55%, 5G 40%로 나타났다. 전체 트래픽에서 동영상, 웹포털, SNS, 멀티미디어, 앱 순으로 콘텐츠 트래픽 규모가 크다. COVID-19 발생 이후 이동통신 데이터 트래픽은 1.3% 증가하였으나, 전년 동기 증가율에 비해 둔화되었다. 본 연구는 관련 통신정책 수립 및 시장 분석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COVID-19 확산 이후 데이터 트래픽 변화에 대한 비교 연구에도 기여할 수 있다.
This work is distributed under the term of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KOGL)
(Type 4: : Type 1 + Commercial Use Prohibition+Change Prohibition)
Type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