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단행본 검색
Type Keyword

Detail

[기술정책 인사이트] 코로나 이후 글로벌 트렌드 : 완전한 디지털 사회
Download 11265 time
Authors
이승민, 하영욱, 송근혜, 정지형, 김문구, 박종현, 정성영
Issue Date
2020-12
Type
ETRI Insight
ISBN
978-89-5519-287-2
DOI
10.22648/ETRI.2020.B.000047 
Abstract
코로나 충격이 전 세계를 휩쓸고 있다.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코로나 이후가 아닌, 코로나 공존 시대를 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과거의 전염병이 인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친 것처럼, 이번 팬데믹도 국가, 기업, 개인의 경쟁력과 운명을 바꾸며 세계사적 변화와 위기를 동반하고 있다. 본 보고서는 코로나 충격이 만든 불확실한 미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6대 트렌드와 디지털 기술에 주목하였다. 경제·일상, 사회·정치, 리스크, 공급망, 국제관계, 기술 영역의 변화가 주요 내용이다. 비대면 사회의 도래는 디지털 가속화와 함께 경제 활동, 노동 방식, 인간관계에 새로운 거리를 만들고, 원격근무와 무인화가 일자리와 노동구조에 급격한 변화를 초래할 전망이다. 공동체 분열, 큰 정부의 귀환, 정보의 왜곡과 소비 편향, 가짜뉴스 등은 사회적 갈등을 심화시키고 있다. 미지의 위험과 예견된 재앙으로서의 팬데믹은 국가 시스템의 회복력 강화와 디지털 도구의 효과적 활용을 요구한다. 글로벌 공급망의 취약성은 가치사슬의 재편과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각국은 자국 중심의 공급망 강화에 나서고 있다. 국제관계에서는 미·중 충돌 등 강대국 간 갈등이 심화되고, 디지털 영토의 분화와 기술 민족주의가 부상하고 있다. 코로나19는 디지털 기술의 역할을 재발견하게 했으며, 디지털 전환이 경제·사회시스템의 기본 인프라로 자리잡고 있다. 데이터 경쟁력과 국가의 디지털 주권 확보가 미래의 핵심 요소가 될 것이다. 코로나 이후 세계는 완전한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을 맞이할 것이며, 이에 대한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
This work is distributed under the term of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KOGL)
(Type 4: : Type 1 + Commercial Use Prohibition+Change Prohibition)
Type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