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연구보고서 검색
Type Funding Org. Research Org.
Year ~ Keyword

Detail

착용 불편 해소를 위한 비접촉 착용 레이더의 Motion Artifact 제거 기술 (1차년도)
Download 705 time
Participants
김동규, 김유진
Published
201901
Type
Annual Report
Keyword
Micro Doppler Radar, 안테나, 멀티 주파수
KSP Keywords
Artifact removal, Motion artifact, Radar technology, Sensing device
Funding Or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esearch Or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OI
10.22648/ETRI.2018.R.000400 
Project Code
18ZH1600, Robust Contactless Wearable Radar Technology with Motion Artifact Removal for Easy-to-Wear Vitial-sign Sensing Devices, Dong Kyoo Kim
Abstract
① 연차 성과목표 달성도
연차 기술개발 성과지표
- 측정해상도: 0.16mm (18년도 목표치: 2mm)
- 위상잡음: 24GHz:-66.33dBc/Hz @100kHz(18년도 목표치:-60)
- 동작주파수: 24~24.5GHz(18년도 목표치: 24~24.5GHz),주파수 비선형성 FMCW-INL 0.067% 달성
- 안테나 송수신 격리도: 격리도(S21) -28.07 dB (2x2배열 안테나), (18년도 목표치:-15dB)
- 안테나 사이즈: 21x21x1 mm (18년도 목표치: 100x100x5)

연차 연구산출물 성과지표
[상위 20% SCI 논문(건) : 제출 2건]
. (논문1) Quadrature Frequency-Group Radar for small Vibrational Displacement (저자: 김동규, 김유진, 제출처: Scientific Reports (JCR 상위분포: 14.844%), 제출됨)
. (논문2) Finite-Difference Time-Domain Modeling for Electromagnetic Wave Analysis of Human Voxel Model at Millimeter-Wave Frequencies(저자: 백재우, 김동규, 정경영, 제출처: IEEE Access (JCR 상위분포: 21.336%), 1차리뷰완료)

[3극 특허: 출원 1건(한국, 미국, 독일)]
. 비고정 레이더의 모션 아티펙트 제거 방법 (Method of Motion Artifact REmoval for Non-fixed Radar)(발명자: 김동규, 김유진, 출원처: 3극 특허 출원을 위한 대한민국 가출원, 가출원완료)

[국내 특허: 출원 1건]
. 직접변환 쿼드러처 레이더 시스템에서 마이크로 도플러 효과의 기준 식별신호 생성기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및 제어 방법(발명자: 김유진,김동규, 출원처: 대한민국, 출원준비중)

[연구시제품: 3건]
. 3종의 시제품 (WR-DV보드, WR-DAQ-DV보드, BGT24L-DAQ-DV보드)을 개발하고 실험에 사용함

[시스템 구축: 1건]
. 시험의 정량화를 위한 레이더 전용 정밀 테스트 환경(Motion Artifact에뮬레이터 Matlab연동 시스템)

[기술문서: 44건]
. 도플러 레이더 하드웨어 및 알고리즘에 관한 44건의 기술문서를 작성 및 등록 완료함

② 연구성과의 질적 우수성
. 기본 레이더 H/W+알고리즘의 미세 변위 측정 해상도는 Motorized Moving Stage에서 정량화된 평가에서 0.16mm의 우수한 해상도를 가짐
. 멀티 주파수 기반의 레이더 Impairment를 Correction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시뮬레이션 및 실험으로 검증하였으며, JCR 상위 14%의 SCI저널(Scientific Reports)에 투고 완료함.
. 인체 근접 전파 환경을 정밀하게 시뮬레이션 하기 위한 EM 계산의 아이디어를 도출하여 JCR 상위 21%의 SCI저널(IEEE Access)에 투고 완료함
. Motion Artifact에 의한 레이더 신호 해석 및 보정 방법을 연구하여 3극 특허로 가출원 완료함
. 위상 잡음 (Phase Noise)의 경우 24GHz에서 -66.33dBc/Hz @100kHz로 측정된 결과를 가짐
. 개발된 Wearable Radar 모듈은 0.067%로 FMCW-INL평가에서 국외제품대비 약 4배 비선형성 성능이 우수한 특징을 가짐
. 안테나 연구에서는 -10 dB 반사손실 대역 [GHz]에서 23.33 ~ 24.09dB(목표대역에서 S11 < -8.06 dB)로 측정되었고, 목표대역에서 격리도[dB] -28.07dB 이하로 측정됨
. 안테나 Size는 21 x 21 x 1 mm 정도의 격리도가 높으면서도 소형화된 크기의 우수한 특징을 가짐

③ 연구결과의 활용정도(가능성) 및 파급효과
○ 1차년도 연구개발결과의 웨어러블 기기의 생체신호 센싱 알고리즘에서 미래유망 연구 선점 가능성
- 기존 전계측정 방식이나 광학식 방식에 비해 본 1차년도 연구개발 결과는 비접촉식의 가능성과 Motion Artifacts에 대한 연구로 착용성이 우수하고 착용 부작용이 없으며 응용범위의 다양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미래유망 연구 분야로 선점 가능성을 높였음
○ 1차년도 연구개발결과의 레이더 기술에서의 미래유망 연구 선점 가능성
- 1차년도 연구 개발내용은 20GHz 이상 대역에서 Doppler 레이더의 Impairment를 해결하는 방법을 정량적인 방법으로 방법론을 개발하고 측정을 하였으므로 선도성이 있음
- 기존의 Doppler 레이더 Impairment 연구는 2.4GHz 대역의 원거리 생체신호 센싱 방법에 관해 주로 연구되어 왔는데, 이 Impairment는 20GHz 이상 대역에서는 매우 다른 특성을 갖게 되므로 1차년도 연구개발 결과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는 확인할 수 없는 멀티주파수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Impairment의 연구결과를 도출함으로서 미래유망 연구 분야로서 선점 가능성이 있음
○ 1차년도 연구결과의 활용분야 파급성
- 1차년도 연구개발결과에서 IQ imbalance Calibration 문제 해결을 위해 제시된 회로적 설계 및 시뮬레이션 기술과 소프트웨어 보정 알고리즘을 통해 Imbalance를 제거하는 방안의 핵심기술개발은 쿼드러처 레이더 기술분야에 중요한 기술로 파급될 것으로 예상됨

④ 인력 및 예산 사용의 적절성
ETRI 인력 2명이 평균 1 (M/Y) 연구 개발을 수행함

⑤ 중간점검 자체점검 내용 반영 여부
중간점검 자체 점검 내용 반영 완료
< 중간점검시 문제점 >
중간점검시의 문제점으로 핵심알고리즘 측정위해 고성능 계측기 구매가 요구 되었음
. 24GHz~24.5GHz대역의 Chirp, Ramping, Step Frequency제어 및 측정을 위해 BW 160MHz 이상의 고성능 계측기 요구됨
. 원내 연구소 보유장비는 대부분 BW 25~40MHz 대역이며, Vector Signal Analysis S/W 필요옵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음

< 해결 및 조치내용 >
. 연구인프라협력실 (담당: 이동한 책임)의 도움을 받아 임차 장비 및 보유장비(고성능 Network Analyzer)를 활용하여 연구개발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었음

⑥ 차년도 수행계획의 적절성
차년도에는 1차년도의 우수한 결과물을 활용하여 아래와 같은 5개 주요 연구내용을 진행하고자 함
1. Motion Artifact 의 Impairment 보정 및 성능 정량화 기술 개발
2. Time-varying DC-offset 최소화 알고리즘 구현
3. 비접촉 착용 레이더 환경의 Balancing 회로 및 신호처리 알고리즘 개발
4. 생체신호 추출 기술 연구
5. 착용형 근접 안테나 구조 설계 및 구현

(출처 : 요약서 4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