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연구보고서 검색
Type Funding Org. Research Org.
Year ~ Keyword

Detail

미디어 접근 편의성 향상을 위한 Active Audioprint 기술 개발 (1차년도)
Download 338 time
Participants
강경옥, 박태진, 성종민, 성종모, 최진수, 백승권, 서상원, 이미숙, 서정일, 이태진, 최근섭
Published
201512
Type
Annual Report
Keyword
음향 채널 통신, 음향 데이터 삽입, 오디오 워터마크, 오디오 핑거프린트
Funding Or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esearch Or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oject Code
15ZR1200, The development of Active Audioprint Technology to Enhance the Media Usage, Lee Tae Jin
Abstract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개발과제의 목적 및 필요성
ㅇ 유통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양이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미디어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관리, 검색, 추천 혹은 관련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증대

ㅇ 드라마, 스포츠, 영화, 음악 등 여러 장르의 다양화된 방송 콘텐츠에 대한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기존의 음악 검색 위주로 개발된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의 데이터 삽입 및 검색 기술 개발이 필요

ㅇ 현재 널리 보급된 다양한 스마트 기기와 향후 새롭게 등장할 스마트 서비스 및 장치들과의 호환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표준화된 서비스 접근 기술 개발이 필요

ㅇ 종래 데이터 삽입 기술의 제한된 전송 데이터 양으로 인해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가 매우 한정적이므로, 보다 다양한 형태의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해당 콘텐츠의 품질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전송 가능한 데이터양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추세

ㅇ 스마트 TV,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스마트 기기의 급속한 보급과 함께 OTT1) 서비스 이용은 증가하고 있으나 단순 멀티미디어 시청에 머물고 있으며, OHTV2)와 같은 방송과 데이터 융합형 서비스에 대한 개발 및 표준화가 추진되고 있으나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음

ㅇ 방송 프로그램 연동형 서비스 제공의 경우, 지상파 직접 수신이 아닌 유료채널을 통한 방송 시청시에는 해당 채널의 정보 인식이 어려워 서비스 연동이 불가한 문제가 발생하며3) 매체 간 공통 시그널링을 위해 방송사 로고 인식 기술, 워터마크, 핑거프린트 등의 방식 등이 후보 기술로 대두

ㅇ 전반적인 디지털 콘텐츠(방송/영화/음악 등)의 불법 유통은 2009년 4월 저작권 삼진 아웃제 및 2012년 5월 웹하드 등록제 등이 시행되면서 감소하였으나, 다양한 스마트 기기를 통한 시청 환경 변화로 인해 방송 콘텐츠 불법 유통은 계속 증가 추세

ㅇ 최근 콘텐츠 연동 메타데이터 활성화와 콘텐츠 불법 유통 및 저작권 보호를 위한 기술이 필요한 추세이며, 이를 위해 비디오 워터마킹 기반의 콘텐츠 보호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이미지 DNA 추출로 인한 비용 증가 및 화질 저하 등의 문제로 인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

(출처 : 본문 제1장 서 론 4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