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기술이전 검색
Year ~ Transaction Count Keyword

Detail

PQC-based TLS Secure Channel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Drone Security

Manager
Yoon Seung Yong
Participants
Yousung Kang, Keonwoo Kim, Kim Dae Won, Byoung Koo Kim, Kim Jeong Nyeo, Kim Ju Han, Kim Taesung, Yoon Seung Yong, Yun Joungil, Lee You Seok, Lee Jongheon, Chung Bo-Heung
Transaction Count
1
Year
2025
Project Code
23HS7500, Development of Control Rights Protection Technologyto Prevent Reverse Use of Defense Unmanned Vehicles, Byoung Koo Kim
24HS5200, Development of Control Rights Protection Technologyto Prevent Reverse Use of Defense Unmanned Vehicles, Byoung Koo Kim
본 이전기술은 국방 드론과 지상의 GCS(Ground Control Station) 서버 간의 제어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 양자내성암호가 탑재된 드론 보안모듈(Drone Security Module) 기반의 보안채널 생성 및 암호화 통신 기술임.
국방 드론 역이용 방지를 위한 원격제어권 보호 기술을 개발·적용하여 미래 사이버 전장을 대비하고, 드론 부대 등을 미래 국방전략으로 안전하게 활용하기 위한 사이버보안 기술의 핵심 기술인 양자내성암호 기반의 TLS/DTLS 보안채널 통신 기술을 국내 보안업체에 기술이전하여 산업경쟁력을 선제적으로 확보할 필요가 있음.
본 이전기술은 양자내성암호 기반의 보안 기술을 적용한 국방 드론과 GCS서버 간 암호화 통신채널 생성 및 데이터 암호화 전송 기능을 제공해 주는 드론 보안용 핵심 기술임.
? (확장성) 국방 드론에 적합한 경량·저전력 MCU 환경에서 제한적인 자원을 활용한 PQC 암호모듈 기능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높은 확장성을 제공함
? (연동성) 기존 공개키 암호모듈 뿐만 아니라 보안 프로토콜과도 쉽게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보안채널 생성 및 암호화 통신 기능을 제공함
? (보안성) 국방 드론 제어권 보호를 위한 하드웨어 기반의 드론 보안모듈에 양자내성암호를 적용하고, 이를 기반으로 보안채널 통신 기능을 제공하여 미래 사이버 공격에 대응할 수 있어 높은 신뢰성과 보안성을 제공함
? (효율성) 성능 및 리소스 사용에 대한 최적화 기법을 적용하여 효율적인 보안 기능(보안채널 생성, 암호화, 복호화) 수행이 가능함
1) 드론 보안용 PQC 기반 TLS 보안채널 통신 기술
- 드론 보안모듈 연동 PQC 기반 TLS 보안채널 생성 및 암호화 통신 기능
- 드론 보안모듈 연동 PQC 기반 TLS 클라이언트/서버 기능
- 드론 보안모듈 연동 PQC 기반 DTLS 보안채널 생성 및 암호화 통신 기능
- 드론 보안모듈 연동 PQC 기반 DTLS 클라이언트/서버 기능
1) 드론 보안용 PQC 기반 TLS 보안채널 통신 기술
*특허
- 펌웨어의 무결성 검증 및 복원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유한체 곱셈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PUF 기반 OTP 생성기를 활용한 드론 보안 강화 기법
- 드론 제어 데이터 보안을 위한 암호화 방법 및 장치
*기술문서
- 국방드론 제어권보호 요구사항 정의서 (Ver. 1.1)
- 국방드론 제어권보호 시스템 구조 설계서 (Ver. 1.0)
- PQC 기반 TLS/DTLS 프로토콜 설계서 (Ver. 1.0)
- 드론 보안취약점 및 안전성 검증 분석서 (Ver. 1.0)
- PQC 기반 드론 보안채널 생성 기술 사용자 설명서 (Ver. 1.0)
- PQC 기반 드론 보안모듈 및 보안채널 생성 기술 (Ver. 1.0)
- PQC 적용 보안 응용 프로토콜 기술 시험 절차 및 결과서
* 프로그램
- 경량형 드론 보안모듈 프로그램 버전 1.0
- 드론 보안모듈용 양자내성 기반 보안채널 생성 에스디케이 프로그램 버전 1.0
- (국방 드론 분야) 국방 유·무인전투체계에서 운용되는 대표적인 무인이동체인 드론의 미래 보안성 강화 및 안전한 임무 수행 보장을 위해, 미래 사이버공격 위협에 대응 가능한 무인이동체 제어권 보호 원천 기술로 적용이 가능함

- (민간 드론 분야) 사이버공격을 통한 무인이동체 탈취 및 무력화 시도, 불법 사용 등으로 인한 민간 피해 방지를 위해, 지상 제어국 또는 개인용 무선조종기 보호를 위한 제어권 보호 원천 기술로 적용이 가능함

- (IoT 서비스 분야) IoT 디바이스와 서버 시스템 간의 안전한 통신을 위해 기기 및 사용자 인증, 메시지 위변조 방지 등의 핵심 보안요소로 양자내성암호 기반의 고비도 인증 기술이 적용 가능함

- (네트워크 보안 분야) 하드웨어 고유특성 추출 및 키 관리 기술과 결합한 양자내성암호를 기반으로 다양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식별 및 인증, 사이버 공격 탐지 및 대응 기술을 적용하여 안정성 및 보안성을 향상에 기여함

- (스마트시티 분야) 스마트시티 분야에서의 지능형 CCTV는 보안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기 때문에, 본 과제에서 개발된 양자내성암호 기반의 보안채널 통신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음

- (커넥티드카 분야) 암호 및 통신의 일체형 모듈은 커넥티드카에 부착하여 기본 기능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양자 컴퓨팅에도 해킹이 불가능한 양자내성암호 기반의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