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ENGLISH
기술이전 검색
연도 ~ 이전수 키워드

상세정보

장애인 접근성 전자책 저작도구 V1.0

전수책임자
유초롱
참여자
권승준, 길연희, 김경일, 김희권, 신희숙, 유초롱, 유호영, 이병규, 이수웅, 이지수, 정성욱, 조현우, 지형근
기술이전수
1
이전연도
2017
협약과제
16CS1200, 장애인 접근성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 기술 개발, 길연희
17CS1400, 장애인 접근성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 기술 개발, 길연희
전자책 콘텐츠에 대한 시각장애인의 자유로운 접근 및 열람이 가능하도록 전자책에 접근성을 추가하고 패키징할 수 있는 전자책 저작도구 기술
■ 2013년 국립중앙도서관 납본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연간 약 74,532종의 도서가 신규 발행되었으나, 동기간 장애인을 위한 대체자료의 제작 건수는 4,985건에 불과하며, 이는 전체적으로 장애인이 접근할 수 있는 독서 자료의 양적 부족 현상을 초래하고 있음
■ 출판물에 대한 접근성 개선의 주 수혜 대상은 25만명의 시각장애인이며, 시각장애인 대부분은 이용 가능한 대체자료가 부족하여 정보습득 요구의 해소에 어려움이 있음
■ 최근 전자책 산업이 성장일로에 있으며, 한국전자출판협회에서 인증을 거친 전자책이 2013년에만 약 37만 건, 2005년부터 2013년까지 약 362만 건이 전자출판물로 인증을 받았음
■ 전자책 기술과 산업의 발달은 기존 종이책 매체를 대체 자료로 별도 제작해야 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전자책 제작 및 변환과정에서 장애인 접근성을 개선함으로써 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는 독서 자료의 양적 확대 및 질적 확대를 기대할 수 있음
■ 국립중앙도서관은 독서장애인을 위한 ‘전자책 접근성 가이드라인’을 국제 전자책 접근성 기준에 따라 2016년 6월 공표, 대체자료로서 전자책의 가능성에 무게를 실음
■ EPUB 3 기반 전자책을 위지윅 기반으로 편집하고, 시각장애인이 자유로운 접근 및 열람이 가능하도록 전자책 탐색을 위한 목차 편집 기능을 제공
■ 전자책을 구성하는 다양한 미디어(이미지, 비디오, 표, 수식 등)에 대해 장애인 접근성 정보를 추가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장애인 접근성 EPUB 3 문서로 재가공하여 제공할 수 있음
■ 장애인 접근성 인증기준에 따라 장애인 접근성 전자책 저작과정에서 접근성 준수 정도를 점검하고, 이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
A. 기술명 : 장애인 접근성 전자책 저작도구
- 장애인 접근성 전자책 저작 및 패키징
. 직관적인 콘텐츠 접근성 편집 지원 저작도구 UI/UX 디자인
. 사용자 편의적 텍스트 편집기
. 장애인 접근성 이미지 편집 지원 멀티미디어 편집기
. 전자책 logical structure 표현 기술
. 리소스 및 저작 콘텐츠 관리 모듈
. 장애인 접근성 전자책 표준기반 전자책 패키징
. 리플로우 레이아웃 기반 편집 기술
A. 기술명 : 장애인 접근성 전자책 저작도구
- 장애인 접근성 전자책 저작도구 V1 프로그램
- 장애인 접근성 전자책 저작도구 V1 상세설계서
- 장애인 접근성 전자책 저작도구 V1 사용자 설명서
(적용분야)
■ (국립장애인도서관) 국립장애인도서관에서 장애인 접근성 대체자료 제작시 전자책 저작도구를 활용하여 기존 전자책에 장애인 접근성 정보를 손쉽게 추가할 수 있음
■ (국립특수교육원)장애인 접근성 전자책 저작기술을 통해 초중고 학습교재에 포함된 다양한 학습 콘텐츠에 접근성 정보를 손쉽게 추가/편집하고, 국립특수교육원을 통해 전국 장애인 학생들에게 적시에 제공 할 수 있음
■ (장애인 단체 및 교육기관)장애인 접근성 콘텐츠 제작 기술 상용화를 통해 다양한 학습 콘텐츠에 대한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서비스 실시

(기대효과)
■ EPUB 기반 전자책을 장애인 접근성을 지원하는 전자책으로 보완 제작함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도서를 장애인들에게 적시에 제공할 수 있어 비장애인과 장애인간의 지식정보 격차를 해소하고, 장애인의 문화 향후 욕구 만족에 기여
■ 시각적 정보에 의존하는 복잡한 데이터의 전달에 있어 시각장애인 등이 이해할 수 있는 전달방법 제공을 통해 장애인 접근성 학습교재 개발을 위한 기술적 해결방안을 제시
■ 대체자료 제작비용과 제작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국내외 장애인도서관에서 적극적으로 구매할 것으로 예상되어 경제성 및 시장성이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