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기술은 스트리밍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하여 전파되는 콘텐츠의 유해성을 판정하고, 판정된 URI의 유해성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임
(참고. 본 기술에서의 유해는 음란성으로 그 의미를 한정함)
- 본 기술의 구성은 스트리밍 URI 콘텐츠 수집, 지역정보 기반 프레임 단위 유해성 판정 엔진, 스트리밍 URI의 유해성 판정 기술로 구성되어 있음
- 2011년 12월말 기준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가 2,257만명을 넘어섰으며, 태블릿 PC 가입자는 52만명을 돌파한 상황에서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을 통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이용이 급증하고 있음 (출처, 디지털데일리, 2012/02/03, “2011년 국내 스마트폰 2258만명·태블릿 52만명”)
- 유해 콘텐츠 유통 환경이 기존의 웹하드/P2P 등에서 스마트폰/LTE/N-Screen/Cloud 서비스 등의 등장으로 인해서 스마트 단말로 변화하고 있으며, 영국 데일리메일은 2012년 1월 스마트폰으로 불법 음란물에 접근하는 어린이들이 늘고 있다고 경고하고 있음
- 스마트폰을 통한 유해 콘텐츠 배포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 스마트 폰 내의 콘텐츠에 대한 주기적 관리를 통해 청소년들이 유해 콘텐츠에 노출되거나 접근되는 기회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스마트 단말에서 유해 콘텐츠를 판단하는 유해 콘텐츠 분류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음
- 본 기술의 경쟁 기술로써 해쉬기반 스마트폰용 유해차단 기술이 있지만, 이 기술은 유해한 것으로 등록된 앱이나 동영상에 대한 차단을 제공하는 해쉬 기반의 기술로써, 등록되지 않은 유해 콘텐츠의 경우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음
- 또 다른 본 기술의 경쟁 기술로는 내용기반 스마트 단말용 유해차단 기술이 있지만, 이 기술은 스마트 단말의 리소스의 한계로 인하여 스마트 단말의 배터리 소모나 계산량 증가로 인한 CPU 점유율 상승 등의 단점이 있음
- 본 기술은 리소스가 상대적으로 풍부한 서버에서 내용기반 및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해쉬 기반의 유해성 분석을 대신 수행하는 기술로, 기존의 유해 콘텐츠 분석 엔진 기술과 결합하여 리소스가 부족한 스마트 단말의 리소스 점유율 및 계산량을 최소화 하면서 판단 성능을 극대화 하여 기술의 사업화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음
- 스트리밍 URI 콘텐츠 수집은 클라이언트(스마트 단말 포함)에서 제공되는 URI를 서버에서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것을 의미하며 사용자 단말에서 URI를 자동 수집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기술은 포함되지 않음
- 지역정보 기반 프레임 단위 유해성 판정 엔진은 멀티미디어 동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프레임내의 지역 정보를 사용하여 유해성을 고속으로 판정하는 기술로써 서버뿐만 아니라 연산 처리 성능이 낮은 스마트 단말에서도 적용 가능함
- 또한, 지역정보 기반 프레임 단위 유해성 판정 엔진은 유해 동영상 판별뿐만 아니라, 유해 이미지 분석 및 검색에도 적용 가능함
- 스트리밍 URI의 유해성 판정 기술은 스트리밍 URI(동영상) 단위의 유해성을 판별하는 기술로써, 본 기술이전에 포함된 지역정보 기반 프레임 단위 유해성 판정 엔진의 결과 및 그 이외의 프레임 단위 유해성 판정 엔진의 결과 등을 조합하여 동영상 단위의 유해성 판별 정확도를 향상시킴 (정확도의 극대화 및 연산 모드 선택의 다양화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실에서 2013년 기술이전을 진행한 ‘스마트 단말용 전역적 공간 정보 기반 유해 콘텐츠 분류 엔진 기술’이 접목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제공)
가. 기술이전의 내용
- 본 기술은 스트리밍 URI를 통해 유통되는 영상 콘텐츠의 유해성을 분석하고 유해 콘텐츠일 경우 차단하는 기술로, URI를 사용자 단말에서 수집하여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 기반 및 지역 정보 기반 유해 콘텐츠 분류 엔진을 활용하여 스트링 동영상의 유해성을 분석하고 결과를 단말로 전송하여 결과에 따라 재생 혹은 차단하는 기술임
A. 기술명 : 스트리밍 URI용 유해 콘텐츠 분석 및 차단 기술
- 스트리밍 URI(대표 URI, 단축 URI)의 실제 URI 및 스트리밍 프레임 수집 기능
- 지역/전역 정보 기반 유해성 판단 엔진과의 연동을 통한 유해 콘텐츠 판단 및 차단 기능
(※ 정확도의 극대화 및 연산 모드 선택의 다양화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팀에서 2013년 기술이전을 진행한 ‘스마트 단말용 전역적 공간 정보 기반 유해 콘텐츠 분류 엔진 기술’이 접목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제공)
- 유해 데이터베이스 기반 유해 콘텐츠 판단 및 차단 기능
- 유해 및 무해 데이터베이스 생성 및 누적 기능
- 프레임에 대한 지역적 특징 추출 기술
- 지역적 특징 및 기계 학습 기반 유해 이미지 분류 기술
나. 기술이전의 범위
A. 기술명 : 스트리밍 URI용 유해 콘텐츠 분석 및 차단 기술
- 스트리밍 URI에 대한 유해 콘텐츠 판단 소프트웨어 시험 계획/절차/결과서
- 공간정보 기반 유해특징 추출 및 판단 블록 상세 설계서
- 지역 정보 기반 유해 콘텐츠 판단 소프트웨어 시험 절차 및 결과서
- 스트리밍 URI 유해성 분석 서버 프로그램 (SW, 소스 코드)
- 스트리밍 URI 유해성 분석 요청 클라이언트 샘플 프로그램 (SW, 소스 코드)
- 지역 정보 기반 유해 콘텐츠 분류 엔진(SW, 라이브러리)
- 본 기술은 스마트 단말 내에 유해 콘텐츠를 분석하는 기술과 결합하여 스마트 단말의 자녀보호 소프트웨어(Parental Control), 멀티미디어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분야, 콘텐츠 거래 및 솔루션 분야, 스마트 스쿨의 전자 단말기 분야 등에 활용 될 수 있음
- 본 기술의 주요 수요처는 자녀보호 소프트웨어 개발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 스마트 단말에서 자녀보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수의 통신 분야 대기업과, 자녀보호 소프트웨어 제품을 개발하는 다수의 중소기업으로 구성되어 일정 수준의 수요처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이전 기술 적용 시 유해 콘텐츠 분석 엔진을 보유한 기존 업체가 신속하게 스마트 단말에서의 유해 콘텐츠 분석 소프트웨어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기능을 시험할 있기 때문에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음
? 이전 기술 적용 시 유해 콘텐츠 분석 엔진 이외의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부가 기능을 모두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완성도를 높여 상용화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본 기술은 유해 콘텐츠 분석 엔진을 보유한 업체에서 상용화시 스마트 단말에서의 자녀 보호 소프트웨어 시장에 신속하게 진입하여 현재 해쉬 기반 차단 제품으로 형성된 자녀보호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콘텐츠 분석 기반 유해 콘텐츠 차단 제품이라는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본 기술은 청소년들의 무분별한 유해 콘텐츠 사용을 방지하고, 유해 콘텐츠에 노출/접근되는 기회를 차단함으로써 유해 콘텐츠 남용의 부작용으로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