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기술이전 검색
Year ~ Transaction Count Keyword

Detail

Drone identification and information integrated linkage management technology

Manager
Kang Kyu-Min
Participants
Kang Kyu-Min, Moon Jung Ick, Seung Keun Park, Park Jae Cheol, Lim Dong Woo, Choi Su Na, Sunghyun Hwang
Transaction Count
1
Year
2024
Project Code
23HH3300, Development of identification and frequency management technology of small drones at low altitude, Kang Kyu-Min
22HH4900, Development of identification and frequency management technology of small drones at low altitude, Kang Kyu-Min
21HH2600, Development of identification and frequency management technology of small drones at low altitude, Kang Kyu-Min
20HH4200, Development of identification and frequency management technology of small drones at low altitude, Kang Kyu-Min
19HR4200, Development of identification and frequency management technology of small drones at low altitude, Kang Kyu-Min
드론의 이용 확산에 따른 사생활 침해, 추락·충돌 등의 역기능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드론식별 기술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드론은 특정한 전문지식 및 조종 면허 없이 공중 이동과 원격 조종이 가능한 특성을 통해 범죄 행위에 쉽게 사용될 수 있으며, 개인의 신상 노출에 대한 부담이 적어 조종자가 안전에 대한 책임에 소홀해지기 쉽다. 일례로 최근 인천공항 및 영국 개트윅 공항에 출현한 드론으로 인한 항공기 이착륙 중단 사고 등이 발생했으며, 주거지 드론 불법 촬영, 취미용 드론 추락으로 인한 산불 발생 등의 드론 역기능 사례 역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드론의 역기능에 대응하기 위한 안티 드론 기술은 기존에는 탐지 및 무력화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레이다 등을 통해 드론을 탐지한 후, 물리적 방법으로 드론을 무력화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대응으로는 드론을 이용한 불법 행위를 방지하기 어렵고,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책임소재를 파악하거나 보험처리 등의 후속 조치를 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드론의 고유정보(드론ID, 위치정보 등)를 확인하여 관리하는 드론 식별 및 관리 기술이 요구되고 있으나 관련 기술이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국내외에서 드론 원격식별을 위한 규정을 통해 드론 식별 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미국 연방항공청(FAA)에서는 드론의 원격 식별을 위한 규정을 마련(‘21.1월)하여 시행 중((23.9월~)이고, 유럽 항공안전청(EASA)에서는 드론 식별 장치의 요구사항이 포함된 무인기 시스템 운용 규정을 마련(‘20.3월)하여 시행 중(24.1월~)이다. 또한, 국내에서도 이러한 동향에 발맞춰 등록되는 모든 드론은 원격식별 기능을 탑재하도록 의무화 규정을 마련 중이다. 이에 따라, 드론 식별 관련 기술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이전 기술은 안전한 드론 이용 환경 조성을 위한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연동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연동 관리 시스템은 드론 식별 정보를 저장 관리하여 사용자에게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을 통해 연동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송수신 장치는 드론 기체에 Built-in 형태로 장착되어 드론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다양한 전송방식으로 송신되는 드론 식별 정보를 하나의 지상용 식별기로 수신하여 모바일 앱으로 확인할 수 있는 설계 기술을 제공한다.
본 기술 이전의 목적은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연동 관리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드론 식별 정보를 드론 ID 기반으로 저장 관리하여 사용자에게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을 통해 연동된 정보를 제공하는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연동 관리 시스템 설계 기술과 드론 기체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드론 식별 모듈과 멀티 전송방식(PRN/CSS/Wi-Fi/Bluetooth) 방식으로 송신되는 드론 식별 정보를 모바일 앱으로 수신할 수 있는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송수신 장치 설계 기술을 제공한다. 기존에는 드론 역기능 방지를 위한 대응 기술로 레이다 등을 이용한 드론탐지 및 무력화에 초점이 맞춰 있었으며, 현재 상용화된 드론 식별 기술은 제어 링크를 통해 자사의 드론만을 식별하는 수준이다. 이에 반해, 개발된 드론식별 기술을 활용하면 드론의 종류와 제조사 등에 상관없이 드론의 고유정보(드론ID, 위치정보 등) 식별 및 관리가 가능하다. 국내외에서 드론식별을 의무화하는 정책 마련이 진행 중인 가운데, 본 기술을 통한 제품이 개발될 경우 안전한 드론 이용 환경이 조성되어 드론 시장이 크게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이전 기술의 주요 특징은 아래와 같다

- (DB) 드론 ID, 위치, 고도, 속도, 방향, 시간 등의 드론 식별 정보 및 드론 관리를 위한 이력, 통계 등의 처리 정보, 알림 정보 등을 저장하는 DB 기능
- (AP 서버) 식별 정보를 알림 기능과 연동하여 관리하는 통합 연동 관리 기능
- (웹서버) 웹사이트를 통해 사용자에게 드론 식별 정보 및 실시간 알림을 제공하는 기능
- (모바일 앱) 드론 식별 모바일 앱이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어 드론 식별 정보 및 실시간 알림을 제공하는 기능
- 드론 기체(비행제어컴퓨터, 배터리 등)와 인터페이스 기능
- 드론 식별 프레임을 생성하여 대역확산 방식으로 송신 기능
- 멀티 전송방식의 드론 식별 신호 수신 기능
- 지도기반 GUI 디스플레이 및 통합관리 시스템과 인터페이스 기능
- 대역확산 방식의 드론 식별 신호 수신하고 ASTM 표준 준용 방식으로 재전송 기능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연동 관리 시스템 설계 기술 및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송수신 장치 설계 기술을 포함하는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연동 관리 기술

가. 기술이전의 내용

A. 기술명(1세부) :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연동 관리 시스템 설계 기술
1)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연동 관리 DB 설계 기술
- 드론 ID, 위치, 고도, 속도, 방향, 시간 등의 드론 식별 정보 및 드론 관리를 위한 이력, 통계 등의 처리 정보, 알림 정보 등을 저장하는 MS SQL Sever 기반의 DB 설계 기술

2)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연동 관리 AP 서버 설계 기술
- 식별 정보를 수집, 관리하고, 설정 구역의 드론 진입 여부 등을 판단하여 알림 대상 그룹에 메시지 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연동 관리 AP 서버 설계 기술

3)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연동 관리 웹서버 설계 기술
- 웹사이트를 통해 사용자에게 드론 식별 정보 및 실시간 알림을 제공하는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연동 관리 웹서버 설계 기술

4) 드론 식별 모바일 앱 설계 기술
-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어 드론 식별 정보와 실시간 알림을 제공하는 드론 식별 모바일 앱 설계 기술

B. 기술명(2세부) :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송수신 장치 설계 기술
1) 대역확산 기반 Built-in 드론 식별 모듈 설계 기술
- 드론 비행제어컴퓨터, 배터리와 인터페이스 가능한 HW 설계 기술
- MAVLink 메시지로 드론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대역확산 방식으로 송신하는 신호처리 알고리즘 설계 기술

2) 멀티 전송방식 지원 지상용 식별기 설계 기술
- PRN/CSS/Wi-Fi/Bluetooth 방식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드론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HW 설계 기술
- 드론 식별 정보를 지도기반 GUI에 디스플레이하고, 통합관리 시스템과 연동하는 인터페이스 설계 기술

3) 소형 지상용 식별기 설계 기술
- 대역확산 방식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드론 식별 정보를 수집하는 알고리즘 설계 기술
- 수집된 드론 식별 정보를 ASTM 표준 준용한 무선신호로 재전송하는 알고리즘 설계 기술
A. 기술명(1세부) :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연동 관리 시스템 설계 기술
1)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연동 관리 DB 설계 기술
-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연동 관리 DB 설계서

2)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연동 관리 AP 서버 설계 기술
-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연동 관리 AP 서버 구조설계서
-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연동 관리 AP 서버 상세설계서
-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연동 관리 AP 서버 S/W

3)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연동 관리 웹서버 설계 기술
-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연동 관리 웹서버 구조설계서
-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연동 관리 웹서버 상세설계서
-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연동 관리 웹서버 S/W

4) 드론 식별 모바일 앱 설계 기술
- 드론 식별 모바일 앱 구조설계서
- 드론 식별 모바일 앱 상세설계서
- 드론 식별 모바일 앱 S/W

B. 기술명(2세부) :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송수신 장치 설계 기술

1) 대역확산 기반 Built-in 드론 식별 모듈 설계 기술
- 대역확산 기반 Built-in 드론 식별 모듈 설계서

2) 멀티 전송방식 지원 지상용 식별기 설계 기술
- 멀티 전송방식 지원 지상용 식별기 설계서

3) 소형 지상용 식별기 설계 기술
- 소형 지상용 식별기 설계서
본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연동 관리 기술”의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 국내외에서 드론 원격 식별 장치의 의무적 장착이 시행될 예정임에 따라, 드론 생산 업체에서 식별 장치의 활용 예상
- 경찰청, 공공 기관, 국내 공항 등에서 본 기술을 적용하여 드론 대응 체계 구축에 활용 가능함
- 드론을 활용한 서비스 분야(드론 택배, 농약 살포, 측량, 촬영, 감시, 레저, 정보 수집 등)에서 본 기술을 활용한 제품 및 서비스 개발이 가능함

본 “드론 식별 정보 통합 연동 관리 기술”의 기대 성과는 다음과 같다.

- 드론ID, 위치 등의 드론 식별 정보와, 드론 관리를 위한 이력, 통계 처리 정보, 알림 정보 등을 저장하는 식별 정보 통합 연동 관리 DB 설계 시간 단축 및 비용 절감
- 식별 정보를 알림 기능과 연동하여 통합 관리하는 AP 서버 설계 시간 단축 및 비용 절감
- 웹사이트를 통해 사용자에게 드론 식별 정보 및 실시간 알림을 제공하는 웹서버 설계 시간 단축 및 비용 절감
-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어 드론 식별 정보 및 실시간 알림을 제공하는 모바일 앱 설계 시간 단축 및 비용 절감
- 픽스호크 기반 상용 비행제어컴퓨터와 호환 가능
- 미국 FAA, 유럽 EASA 등 글로벌 드론 식별 규정 준수
- 하나의 지상용 식별기 운용으로 멀티 전송방식의 드론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지상용 식별기 설치 및 운용 비용 절감 가능
- 드론 식별 모듈 및 지상용 식별기 설계 기간 단축
- 대역확산 방식으로 전송되는 드론 식별 정보를 상용 드론 식별 모바일 앱(Open Drone ID 등)으로 수신 가능하도록 호환성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