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기술이전 검색
Year ~ Transaction Count Keyword

Detail

6G Wireless Communication gNB Modulator Hardware Technology for Data and Control Channel

Manager
Jeong Chan Bok
Participants
Transaction Count
0
Year
2025
Project Code
o 6G 이동통신 기지국 데이터 및 제어 채널 변조기 HW 기술
- "3차원 공간 이동통신기술 개발” 사업에서 도출된 결과물
- 다계층으로 구성되는 3차원 공중의 간섭이 많은 이동 셀 환경에서 Gbps급 속도를 제공하는 3차원 공간 무선전송 기술
o 3차원 공간 이동통신 기지국 관련 HW 구현 기술을 이전하여 중소·중견기업의
경쟁력 강화 및 국내 5G 및 6G 이동통신 산업 활성화에 기여
o 6G 저궤도 위성통신 국가프로젝트 추진 일정
­ 저궤도 위성통신 중기재정 사업(’24~’26): Transparent 저궤도 위성통신용
5G-Advanced NTN 지상국 및 단말 개발(’26) ­ 저궤도 위성통신 예타 사업(’25~’30): 6G 표준 기반 Regenerative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 개발 및 위성 2기 시험 발사(’30) ­ ABLE-MAN 국가전략프로젝트 추진(’26~): 민군 겸용 K-LEO 및 글로벌 LEO
얼라이언스, TN-NTN 통합 네트워크 구현(’35~)
o 2025년 6월 초, 세계 최고 수준 6G 초공간 핵심기술 확보 및 세계 최초 지상/위성
통합 6G 초공간 시연 성공하였고, 해당 시스템에 6GgNB PHY가 구현되어 있으며
이중에서 기지국 데이터 및 제어 채널 변조기 HW 기술을 이전함
o 상용 장비 Keysight UESim 단말 에뮬에이터와 Keysight Channel Emulator를
이용하여 RRC Setup 절차부터 UE Dedicated Chanel 전송까지 정상적인 동작 검증
완료함
o 기지국 데이터 및 제어 채널 변조기 HW는 Smal Cel Forum에서 정의한 FAPI
(functional application platform interface)를 반영하여 플랫폼 하드웨어, 플랫폼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공급업체 간의 상호운용성 높임
o 6G 이동통신 기지국 데이터 및 제어 채널 변조기 HW 기술
- NR기반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및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for PDSCH 전송에 대한 HW 기술
- NR기반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for PDCCH 전송에 대한 HW 기술
o 6G 이동통신 기지국 데이터 및 제어 채널 변조기 HW 기술
- 6G 이동통신 기지국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NR기반 물리 데이터 채널 및 제어 채널 전송 HW 기술
-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및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for PDSCH 구현 설계 및 시험결과
-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for PDCCH 구현 설계 및 시험결과
o 적용분야
-­ 3차원 공간 이동통신 기지국, 3차원 공간 이동통신 릴레이, 3차원 공간 이동통신 단말로 구성된 3차원 공간 이동통신 테스트베드 구축 및 기능/ 성능시험 수행
­- 3차원 공간 이동통신과 위성통신을 통합한 3차원 공간 네트워크 테스트베드에 핵심기술 개발 성과들을 연계함으로써 산업화 성과확산 및 실증연구 추진
­- 이동통신 모뎀 및 프로토콜 SW 등 표준화 대상이 아닌 기술 분야에 대해서는
- 3차원 공간 이동통신 시스템 성능 우위 확보 및 구현 복잡도 저감 기술 반영 추진
­- 3차원 공간 이동통신 기지국, 릴레이의 상용화를 통해 중소·중견기업의 경쟁력 강화 및 국내 5G 및 6G 이동통신 산업 활성화에 기여
­ 5G 및 6G 이동통신망의 3차원 공간으로의 커버리지 확대 및 음영지역 해소를 위한 장비로 활용

o 기대효과
-­ 3차원 공간에서 지상-비지상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다양한 공간 이동체들 간의 끊김없는 연결을 제공하는 3차원 공간 네트워킹 기반 기술 확보
­- 3차원 공간에서의 공중셀 간 간섭을 극복하고 이동 셀 환경에서도 Gbps급 체감속도를 제공하는 3차원 공간 무선전송 기반 기술 확보
­- 이동통신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 추진 동력원으로서, 現 5G의 진화적이고 脫 5G의 변혁적인 이동통신 표준 고속 이동분야 원천기술의 선제적 확보로 표준화 및 기술적 우위 선점과 다양한 융합기술 창출 효과 기대
­- 3차원 공간 이동체에 필요한 이동성과 이동연결성 제한극복 기술 개발을 통해 지상과 비지상의 차세대 항공·교통·통신시장 확보에 기여
­- UAM 시장은 2030년경 본격적인 상용화가 예상되며, 에어 택시, 에어 관광, 에어 셔틀버스, 에어 엠뷸런스, 응급 의약품 배송, 항공 감시 등 다양한 UAM 활용
- 비즈니스 모델에 3차원 공간 이동통신 기술 적용 가능
­- 중계기 위주의 중소기업들이 3차원 이동통신 기지국 및 릴레이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5G 및 6G 이동통신 서비스의 3차원 이동통신 공간으로의 도입에 따른 새로운 이동통신 시장 생태계 조성
-­ 3차원 공간 이동통신 기술은 공공성이 강한 국가ㆍ사회 안전 및 편의 서비스로 선제적 활용이 가능하여 국민들의 편익을 제고할 수 있음
­- 입체형 네비게이션 서비스, 비지상망 광대역 이동통신 서비스 등 고속 비지상망을 목표로 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업체의 비즈니스 모델이 생성되어 다양한 분야의 일거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
­- 무인 UAM 활성화시 야간 교통 서비스, 빠른 물류 운송 등을 통해 기존에 사회적 문제가 될 수 있는 다양한 고위험 노동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3차원 공간 이동통신 기술을 통해 여객기, 플라잉 택시 등 사용자가 밀집한 3차원 이동통신환경에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및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