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기술이전 검색
Year ~ Transaction Count Keyword

Detail

Wavelength-tunable modulated laser chip technology for 6G communication

Manager
Kwon Oh Kee
Participants
Kwon Oh Kee, Kim Kyuho, Youngsun Moon, Taehyun Park, Jae-Sik Sim, Chul-Wook Lee
Transaction Count
1
Year
2025
Project Code
24GH1200, Development of smart 50Gbps/100Gbps tunable device and optical transciever for 6G wireless access, Kwon Oh Kee
25HH6500, Development of smart 50Gbps/100Gbps tunable device and optical transciever for 6G wireless access, Kwon Oh Kee
24ZB1300, Development of Creative Technology for ICT, Lee Il Min
25ZB1300, Development of Creative Technology for ICT, Choi Kwang-Seong
본 기술은 차세대 네트워크(6G) 산업기술개발 사업의 “6G 무선액세스용 지능형 50Gbps/100Gbps 파장가변 광부품 및 광트랜시버 기술 개발” 과제와 ETRI 기본사업의 ICT 창의기술 개발/6G NTN 위성 간 데이터 송신용 빔조향기 칩 및 비기계식 빔조향 모듈 개발“과제의 결과물 중 하나인 “6G 통신용 파장가변 변조광원칩 기술“ 이전을 통해 관련 핵심기술을 이전하고자 함.
- 기술이전 내용은 업체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소자에 대한 구현기술들을 포함한다.
? 국내 RAN(radio access network)의 Fronthaul은 10/25Gbps 기반의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으로 운용
? 6G 서비스 수용을 위해 채널수 확장과 채널 변조속도를 증가시켜 네트워크를 대용량화를 시키고 있으며, 기존의 파장고정 대신 인벤토리 저감 및 채널 관리/통제를 위해 파장가변 시스템으로 전환중
? 파장가변 고속변조 광원으로 활용되는 T-EML (tunable electro-modulated laser)는 DBR-LD(distributed Bragg reflector-laser diode)와 EAM(electro-absorption modulator)가 단일집적된 반도체 칩으로서 DBR-LD의 파장 가변부를 조정해서 동작 파장을 가변시킬 수 있으며, EAM 에서 신호를 변조시켜 정보를 전송함.
? 튜너블 트랜시버는 T-EML이 실장되어 송신부 역할을 하는 TOSA(transmitter optical sub-assembly), 수신부인 ROSA(receiver optical sub-assembly), 제어부인 PCB(printed circuit board)과 외관인 housing으로 구성되며, 소정의 form-factor 내에 모두 실장됨.
? 광트랜시버 제작시 원재료 비용은 광원칩 (39.5%), IC (12.4%), isolator (10.4%), PD (10.2%) 순이며, 광원칩은 단가면에서도 여타 부품에 비해 매우 높은 가격이며, 현재 ~25Gbps NRZ(non-return-to-zero)의 동작속도에서 제한적 파장가변 광원 (파장가변 범위~ 3.2nm)의 DFB(distributed feedback)-LD가 적용되고 있음.
? 본격적인 5G의 본격적인 적용과 함께 인벤토리 코스트 저감을 위해서는 25Gbps NRZ 이상 혹은 50G PAM4(pulse amplitude modulation level 4)의 고속 변조와 16채널 (~13nm)의 파장가변이 가능한 반도체 칩 기술이 필요하며, 현재 Smart MSA와 향후 적용되는 범위를 감안하면, 칩 수준에서는 100G PAM4 동작이 가능한 동작의 기술개발이 조속히 요구되며, 향후 튜너블 광원칩을 기반으로 한 관련 응용 네트웍은 향후 SDN(software defined network)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판단됨.
? 파장가변 광원은 국내 요구량도 10Gbps를 포함한 25Gbps의 광원칩 수요는 약 1,000억이 넘고 있으며, 최근 FMCW (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SS-OCT (swept source-optical coherent tomography)를 비롯한 광센서 혹은 기능성 트랜시버 시장을 고려할 경우, 년 1500억 이상의 내수를 위한 국산화와 함께 해외시장 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파장가변 광원은 구현형태 및 구성/동작에 따라 크게 5가지로 구분할 수 있음
? SG(sampled grating)-DBR과 DFB array는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반면 높은 가격으로 엑세스망에 적용이 제한
? DFB-TEC (thermo electric cooler)는 가격이 낮은 대신, 상술한 파장가변 범위 제한과 응답특성의 비선형성으로 고속 PAM4 동작이 제한되는 문제
? ECL (external cavity laser)는 하이브리드 집적인 만큼 구조 및 동작 안정성이 큰 이슈가 되고 있음.
? Tunable DBR-LD 및 DBR-EAM(T-EML)은 본 기술이전 구성으로서 가격, 크기, 안정성, 동작의 간편성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형태로 평가되고 있음.
이전 기술은 다채널 동작을 지원하고, 각 채널별로 100Gbps PAM4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DBR-EAM 형 파장가변 변조광원으로서, 종래의 SG-DBR 구성에 비해 소자구성이 간단하고, 파장가변 동작이 쉬워서 저가격 제공이 가능하고, 종래의 DFB-TEC 구성에 비해서는 고속동작과 광대역 파장가변이 가능한 장점이 있음.
o 기술이전의 내용
A. 기술명 : 6G 통신용 파장가변 변조광원칩 제작기술 (세부 기술 1)
1) 요구사항
- 8/16채널 동작 T-EML(tunable electro-modulated laser) 칩
- 50/100Gbps NRZ/PAM4 동작 (채널당)
- IT 버전 동작조건 (55도)
2) 세부기술: T-EML 제작칩 및 구현기술
- ETRI 제작 T-EML 칩 (성능 요구사항 반영) 제공
- 제작공정 및 구현 기술 (마스크, Runsheet) 제공
- 세부 공정기술 자료 제공 및 교육 (필요시)

B. 기술명 : 6G 통신용 파장가변 변조광원칩 설계/평가 기술 (세부기술 2)
1) 요구사항
- O/C-band 동작 DBR-EAM (에피/도파로) 구조
- T-EML 단일집적 구성
- IT 조건에서 성능평가 및 개선 검토
2) 세부기술: T-EML 구조설계 및 관련기술
- T-EML 설계 구조 (성능 요구사항 반영) 제공
- 설계구성 및 해석결과 (시뮬레이션) 제공
- 기능구성 설계/측정평가 자료 제공 및 교육 (필요시)

o 기술이전의 범위
A. 기술명 : 6G 통신용 파장가변 변조광원칩 제작 기술 (세부 기술 1)
1) ETRI 파장가변 광원 칩 제공(100개 미만)
- T-EML 제작칩 (ETRI fab 활용) 제공
- 칩 개수: 조정가능 (1회, xx개 이내)
- 적용칩에 대해 업체 사용 허가

B. 기술명 : 6G 통신용 파장가변 변조광원칩 설계/평가 기술 (세부기술 2)
1) 업체 파장가변 광원 구조 제공
- T-EML 설계구조 (업체 공정 및 기술상황 반영) 및 측정평가 내용
- 설계/평가 횟수: 조정가능 (1~2회)
- 설계구성의 제작 칩에 대해 특성 평가 및 개선 검토 (x 회 이내)
? 지난 몇 년간 CWDM 망 기반 3G-PP LTE 및 LTE-A의 국내 무선 이동통신 상용 서비스의 시행으로 인해 파장고정 Gb/s급 광원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후 5G 수용을 위한 파장가변 시스템으로의 변화에 맞춰 국내의 광통신 모듈회사가 이를 수용하여 신규로 형성되는 시장에 진입 가능성이 높음.
? 세계적으로 수직계열 인수합병을 통해 칩 수급이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상용화 경험을 보유한 업체에서 이를 수행해서 시장요구에 대응하는 제품개발시 국내시장 활성화 뿐 아니라, 세계시장 진입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국내업체의 칩 제작 및 모듈 기술에 대해 ETRI의 개발 기술을 결합하여 요구조건에 만족하는 국내솔루션 개발의 성공 가능성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