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기술이전 검색
Year ~ Transaction Count Keyword

Detail

Pedestrian accident prevention, care, and accident response service technology based on traffic weak and guardian

Manager
Bae Myung Nam
Participants
Jeongkyun Kim, Jeongkyun Kim, Bae Myung Nam, Lee Kang Bok, Sang Yeoun Lee, Jeong Mingi
Transaction Count
1
Year
2020
Project Code
19MH1600, 5G Infra-based Guardian Service, Bae Myung Nam
18MH1600, 5G Infra-based Guardian Service, Bae Myung Nam
교통약자가 일상생활에서의 비정상거동에 대한 탐지와 분석판단을 통해 사전에 사고를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한 기술
o ‘개인’, ‘안전’, ‘건강’이 정부의 주요한 과제로 부상하면서 빅데이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IoT 등 ICT 기술의 융합적 활용을 통해, 새로운 영역의 개인건강 안전관리 필요성 제기. 이에 따라, 사고안전에 새로운 센서 및 컴퓨팅 기술을 융합하여 대용량 정보수집과 분석을 통한 스마트 개인 안전 기술들이 개발중

o 고령화 사회 진입과 노령 인구 증가에 따라,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노인의 실내외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사고발생시 의료비용 뿐만 아니라 삶의 질 하락에 따른 사회적 비용도 매우 큼. 이에 따라, 대표적인 사고인 추락/낙상, 추돌과 같은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또 사고가 발생하였다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이 필요

o 이를 위해, 착용이나 휴대가 용이한 사고인지장치와 요구조자의 다양한 신체정보./위치정보/환경정보 등의 다양한 데이터 수집/분석/판단 기술과 비상 상황시(사고, 의식불명 등) 개별 상황에 따라 신속 대응할 수 있는 기술 요구

o 본 기술은 장애인·노인과 같은 사회적약자에게 인체의 이상거동을 탐지하고 기존 이력과 비교를 통해 위험상황을 예측하여 사전에 예방하며, 사고 발생시에는 보호자/구조자와 연계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함
o 착용/휴대 용이한 사고인지장치 및 기구물
- 사고인지장치는 이벤트모드, 로깅모드, 실시간모드 제공을 통해, 다양한 방식의 전력효율화 방안을 기본적으로 제시
- 요구조자의 선택에 따라, 인솔, 벨트, 목걸이 형태로 제공되는 기구물을 사용하여 착용 가능

o 사고분석 및 판단 알고리즘
- 보행중인 인체거동으로부터, 대표적인 사고유형인 낙상/추락, 추돌상황을 도출하기 위해, 충격량/낙하시간/노출각도 등의 특징점을 활용하여 높은 사고정확도를 제공함
- 스마트폰/스마트워치로부터 얻어진 생체정보(맥박,움직임)/환경정보(사고위치,위험도 등)/위치및공간정보를 활용한 복합판단을 통해 사고정확도를 개선
- 일상생활에서의 사고유사행동에 대한 오탐율 감소를 통해, 빈번한 경보/알림 제외가 가능

o 비정상거동 분석 및 판단 알고리즘
- 일상생활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장치 및 센서의 플래그 앤 플레이 기능, 다양한 장치 구성과 제어, 관련 데이터 수집, 분석, 대응 서비스 제공
- 연결하는 장치와 저전력을 위해 연동하는 방식에 따라 서비스 내용을 가감할수 있으며, 데이터 수집·분석을 요구하는 모든 응용분야에 적용 가능
- 대표적인 웨어러블 장치인 스마트워치를 사용한 소방관/요구조자의 체온과 맥박 변화 수집, 움직임 모니터링을 통해, 사고 인식 혹은 의식불명으로 인한 이동 제한 상황을 분석하고, 보호자와 구조자에게 필요한 의사결정 정보로 제공함
(세부기술1) 요구조자 인체 비정상거동 탐지 및 대응 기술 (Q-mark 2019-2035)

(세부기술2) 요구조자 사고판단 및 대응 기술 (Q-mark 2019-2034)
(세부기술 1) 요구조자 인체 비정상거동 탐지 및 대응 기술
- 비정상 상황인지 및 분석 알고리즘 및 대응 관련 소스 프로그램
- 개발 및 시험을 위한 사용자 설명서
- 교통약자 비정상거동 대응 기술 시험절차/결과서
(세부기술 2) 요구조자 사고판단 및 대응 기술
- 사고상황인지 및 유형분류에 의한 사고분석/판단 소스 프로그램
- 사고인지장치 및 가디언앱 활용 설명서
- 교통약자 사고판단 및 대응 기술 시험절차/결과서
o 실내외의 일상환경에서 사고분석?신속대응 지원을 위한 사고안전 서비스용 제품에 적용
- 구조?구급 활동을 수행하는 구조자(119 구조구급대원)과 연계하여, 교통약자의 사고 상황에서 위험 상황을 빠르게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사고안전 장비로 활용 가능함
- 야외 일상생활(보행, 산행)에서 교통약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사고에 의한 거동불편이나 의식불명과 같은 위험상황을 다양한 공간/환경 정보들을 활용하는 복합 알고리즘을 제공함. 알고리즘은 위험상황에 처한 교통약자와 보호자, 그리고 구조자에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의사결정이 가능함

o 데이터 수집·분석 기능을 활용하여 사전에 비정상거동에 대한 사고 전조를 예측하거나 조기에 감지하는 사고예방용 장비에 적용
- 사고인지장치의 휴대/착용을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상황변화를 신속·정확하게 전달하는 조기 이상탐지 및 장기간의 지속적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

o ICT 활용을 통한 사고안전 및 건강증진 분야 신산업 창출과 기존 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
- 기존의 개인 구조?안전 장비를 IoT 기술과 융합하여 스마트화 함으로서,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을 높이는 가교 역할을 담당

o 사고 피해 감소 및 사고 예방분야 장비 기술로 활용
- 사고에 의한 개인의 신체적/인지적 장애를 최소화하고, 보호자 및 구조자를 통한 사고대응 및 인지 능력을 증강시켜 교통약자에 대한 신속한 현장 대응에 대한 효율성 향상에 기여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