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기술은 시니어 및 디지털 소외계층을 포함한 모든 사용자가 쉽게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도록 설계된 웹 기반 콘텐츠 편집 기술로, 기존의 설치형 또는 상용 웹기반 편집 도구가 가진 복잡성과 제한성을 개선한 접근성 중심의 통합형 편집 기술이다. 또한 외부 생성형 AI(API) 연동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AI 모델에 종속되지 않고, 음성합성(TTS), 자동 자막, 이미지 생성, 요약, 번역 등 다양한 생성형 AI 모델을 플러그인 형태로 자유롭게 연결·호출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ㅇ 기존 동영상 편집 서비스는 기능이 너무 많고 화면 구성이 복잡하여, 시니어나 초보 사용자가 처음 사용할 때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음. 또한 설치형 중심이라 기기나 환경에 따라 사용이 불편한 경우가 많았음
ㅇ 최근 디지털 소외계층 및 약자를 위한 포용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별도 설치 없이 브라우저에서 바로 사용 가능하고, 핵심 기능 위주로 단순화, 보기 쉬운 UI를 제공하는 편집 서비스가 필요함
ㅇ 또한 기관과 기업은 점점 더 다양한 AI 기능을 시스템/서비스 내부에 적용하고 있는데, 외부 AI를 쉽게 연결할 수 있는 구조는 영상 편집 도구의 활용 범위를 넓히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음
ㅇ (접근성 중심 UI/UX 설계) 기존 편집기에서 복잡하게 배치된 기능을 최소화하고, 사용 빈도가 높은 핵심 기능만을 화면에 배치하여 시니어 및 초보 사용자도 직관적으로 기능을 인식할 수 있도록 설계
- 또한 글자와 버튼 크기를 확대하고, 고대비 색상·명확한 아이콘을 적용하여 시각적 가독성을 높임
- 특히 기능 수행 과정에서는 하이라이트 효과를 이용한 단계별 인터랙티브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매뉴얼 학습 없이도 자연스럽게 다음 단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
ㅇ (AI연동구조 및 확장성) 외부 생성형 AI(API) 연동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AI 모델에 종속되지 않고, 음성합성(TTS), 자동 자막, 이미지 생성, 요약, 번역 등 다양한 생성형 AI 모델을 플러그인 형태로 자유롭게 연결·호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춤. 기술이전 후 기업이 자체 AI 서비스를 통합해 활용할 수 있음
ㅇ (디바이스 독립성) PC, 태블릿, 모바일 등 디바이스 구분 없이 작동하며, 브라우저만으로 접근 가능한 클라우드형 서비스로 유지보수·배포 비용 절감 효과를 제공. 이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동일한 편집 환경을 사용할 수 있음
ㅇ (경량화) 본 기술의 실시간 미리보기 기능은 Three.js(WebGL 기반 3D 렌더링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프론트엔드 서버 단에서 GPU 가속을 직접 활용함으로써, 고해상도 영상도 CPU 부하 없이 미리보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경량화함
<기술이전 내용>
ㅇ WebGL(Three.js) 엔진 기반 실시간 랜더링 기능
ㅇ 템플릿 기반 short-form 영상 생성 기능
ㅇ 국제 웹 접근성 표준 WACG 2.2 기반 시니어 친화형 UI/UX 기능
<기술이전 범위>
ㅇ 시니어 친화형 디지털 콘텐츠 편집 기술 요구사항정의서
ㅇ 시니어 친화형 디지털 콘텐츠 편집 기술 시험절차 및 결과서
ㅇ 시니어 친화형 디지털 콘텐츠 편집 기술 프로그램 소스코드
ㅇ 교육, 복지, 공공 분야
- (학교·청소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단계별 가이드 기능을 통해 학생이 직접 영상 콘텐츠를 제작·편집하며, AI 기반 자동 자막·음성합성 기능을 활용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정 운영이 가능. 학교, 청소년센터, 도서관 등에서 활용 가능
- (디지털 포용·평생교육 서비스) 시니어, 청소년, 장애인 등 디지털 소외계층이 별도 설치 없이 브라우저 환경에서 영상·이미지 콘텐츠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음. 평생교육원, 복지관, 지역 미디어센터 등에서 디지털 역량 강화 및 미디어 체험 교육 도구로 활용 가능
ㅇ 산업, 상용 서비스 분야
- (공공·문화·홍보 콘텐츠 제작 솔루션) 지방자치단체, 문화재단, 공공기관 등에서 지역행사, 복지정책, 문화홍보 콘텐츠를 자체적으로 제작·배포할 수 있는 경량형 웹 편집 플랫폼으로 활용 가능. 시민 참여형 미디어 제작 서비스로 확장 가능
- (기업형 AI 융합 편집 솔루션(SaaS)) 외부 생성형 AI(API) 연동 구조를 기반으로, 기업이나 기관이 보유한 AI 엔진(자막, 음성, 번역, 이미지 등)을 손쉽게 통합하여 홍보영상·교육용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음. 기술이전 후 SaaS형 구독 서비스로 상용화 가능
ㅇ 기대효과
- 본 기술은 시니어·청소년 등 디지털 소외계층의 콘텐츠 제작 접근성을 향상시켜 디지털 포용 사회 실현에 기여하며, 외부 AI 연동을 통한 AI 융합형 편집 산업의 신시장 창출과 상용화 확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