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기술이전 검색
Year ~ Transaction Count Keyword

Detail

High-Speed Modulation & Demodulation Module based on DVB-S2

Manager
Jung Soo Yeob
Participants
Kim Min Hyuk, Pansoo Kim, Park Mankyu, Shin Minsu, Shin Sang Kwon, Ahn Jae Young, Oh Deock Gil, Wang Do Huy, Ryu Joon Gyu, Lee In Ki, Lee Ho Jin, Jun-Gil Jeon, Jung Soo Yeob
Transaction Count
1
Year
2015
Project Code
15MR2800, Development of Adaptive Satellite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Transmission Technologies, Oh Deock Gil
DVB-S2 기반 고속변복조모듈은 위성방송통신 송수신기술로 강우감쇠가 심한 Ka 대역에서 고효율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기술임.
ㅇ UHD/3DTV 등 광대역 실감위성방송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상파, 케이블 방송 보다 위성방송이 유리
ㅇ 위성은 신규서비스 도입이 가장 유리한 매체로, 스카이라이프는 이미 '10년 1월부터 3DTV 시험방송을 실시하고 있고, ‘13년까지 모든 채널을 HDTV로 전환할 계획을 추진 중이어서 HD 이후의 기술기준 마련이 시급
ㅇ 유럽의 경우는 DVB-S2 기술로 UHDTV 위성전송을 계획하고 있으나 고속, 대용량 전송에의 어려움으로 ‘10년 6월 ASTRA를 중심으로 Ka대역 등 광대역 위성중계기에 적합한 전송기술의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이에 따라 DVB-S2X 표준을 제정함
ㅇ 초고화질 실감형 디스플레이와 압축 기술에 대해서는 기술 개발 및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나 산업적 파급효과가 큰 실감방송 서비스를 위한 전송 기술 개발은 미흡하며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
ㅇ 방송통신위원회에서는 4G 실감형 방송을 10대 미래서비스(‘10년 5월)에 포함하는 기술개발 정책을 추진 중이며, UHD 서비스의 경우는 광대역 주파수 자원 확보가 가능한 위성방송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음
ㅇ 위성통신자원의 광대역화와 Ku대역 자원고갈로 Ka대역 위성에 적합한 초고속 고효율 위성전송 방식과 Ka대역 강우감쇠 특성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DVB-S2 표준기반의 적응형 초고속 위성전송기술이 필요함
- DVB-S2 표준 지원
- 변복조방식 : QPSK, 8PSK, 16APSK
- 전송속도 : 1 ~ 200Msps
- Roll-off factor : 0.35, 0.25, 0.20
가. 기술이전의 내용
?ㅇ DVB-S2기반 고속변복조모듈은 위성방송통신을 위한 송수신기술로 강우감쇠가 심한 Ka 대역에서 고효율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송수신기술로 QPSK, 8PSK, 16APSK 심볼매핑 및 디매핑을 지원함.
? ㅇ 이를 위해 VCM 기술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는 Ka 대역의 link 가용도를 높이기 위해 변조방식을 채널 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하여 강우감쇠에 강인하게 하는 복조기술임.

나. 기술이전의 범위
? ㅇ DVB-S2 표준에 준수하는 고속데이터 송수신기술
? ㅇ 변복조기 구조 및 알고리즘
ㅇ UHDTV 기술은 post-HDTV 시대의 시장잠재력이 큰 유일한 방송기술로서, 전후방 산업에서 산업적 파급효과가 큰 방통융합 분야의 핵심 전략기술임
ㅇ 전국 어디에서나 서비스 접근이 용이한 위성기반 UHDTV 위성전송실험을 통해 국내 서비스 도입 기반을 구축하고, 초고화질TV 서비스의 보편화에 기여
ㅇ DVB-S2 기반의 채널 적응형 위성방송 전송기술은 다채널 고화질 3DTV, UHDTV, D-Cinema 전송, 5感TV 등 실감방송 전송의 공통기술로 직접 활용
ㅇ 미래 방송기술 핵심역량 강화로 초고화질 방송시장에서 미래 디지털라이프 사회구현에 필요한 원천 IPR 확보 및 기술선도 지속화
ㅇ 실감위성방송 분야는 TV 등 디스플레이, 방송장비, 전송망 등의 전방산업 시장은 물론, 카메라, 콘텐츠 기록/재생장치 등 후방산업까지 포함하여 경제적인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
ㅇ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의 위성방송수신기 기술력을 갖고 있어 블루오션이 될 UHD급 광대역 위성방송기술과 기존 위성방송수신기 기술력을 접목하면 세계시장 선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ㅇ 광대역 위성에 의해 전국 단일 시청권을 제공하고 전국을 대상으로 단기간 내 동시방송이 가능함, 따라서 신규방송의 경우 망 구축비용이 상대적으로 낮고 방송의 보편성 및 동등 시청권 추구에 기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