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드론 기반 정밀 착륙 유도 기능 제공
- 마커 위치 추정 기능 제공
- 조종기/관제시스템을 이용한 프로그램 관리 기능 제공
- 비행모드 변경을 통한 프로그램 초기화 기능 제공
나. 기술이전의 목적 및 필요성
- 드론은 코로나19, 우·러전쟁 등의 영향으로 국방, 공공부터 일반 소비자까지 사용처가 증대 증대되고 있지만, 도심지 등에서 드론이 원하는 위치에 착륙하지 못할 경우 사고 위험이 아주 커서 드론 착륙에 대한 안전성 확보가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임
- 정밀한 드론 착륙은 AI 기반 영상인식, 센서 융합 등의 기술 개발과 안전성 검증, 현장 실증 등에 대한 여러 노하우가 필요하지만, 고난이 기술을 요구하여 중소기업이 직접 개발하여 적용하기 어려운 형편임
- 드론 기체에 이 기술을 탑재하면 물류/배송서비스, 국토/해양감시, 항공촬영, 환자수송 등 다양한 분야에 곧바로 적용하여 안전사고 감소가 가능함
드론이 안전하게 목적지에 착륙하기 위해 드론에 탑재된 다중센서를 기반으로 목적지에 위치한 마커를 인식하여 50cm 이내로 드론을 정확하게 착륙시켜주는 기술
- 드론 기반 정밀 착륙 유도 기능 제공
- 마커 위치 추정 기능 제공
- 조종기/관제시스템을 이용한 프로그램 관리 기능 제공
- 비행모드 변경을 통한 프로그램 초기화 기능 제공
- 영상 기반 드론 정밀 착륙시스템
. (시스템 시작 기능) 조종기 또는 관제시스템을 통해 FC의 비행모드가 GUIDED로 변경되었을 때 착륙 알고리즘을 동작
. (시스템 초기화 기능) 조종기 또는 관제시스템을 통해 FC의 비행모드가 ALT_HOLD로 변경되었을 때 알고리즘을 초기화
. (정밀 착륙 기능) 정해진 마커 위에 마커 중심으로부터 50cm 이내에 착륙
. (비상상황 대응 기능) 마커를 인식하지 못하는 비상상황에서도 마지막에 인식한 마커 위치로 착륙
라. 적용분야 및 기대효과
- 이전기술을 활용하여 드론 기체를 활용하는 전 산업(국방, 물류, 산림, 농업, 국토/해양감시, 항공촬영, 환자수송 등)에서의 드론시스템 개발
- 사람 관여없이 드론이 자동으로 정밀하게 착륙하여 안전사고 절감을 통한 안전성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