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이전기술은 테이블과 같은 일반 평면 상에서 거리 센서를 활용하여 손가락을 통한 마우스 조작 및 멀티 터치를 인지하는 기술이며, 현실 공간의 실사물과 가상의 정보를 결합하여 자연스러운 정보 공유 및 기기 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카메라-프로젝터 기반의 터치 및 증강 인터페이스 기술에 관한 것임
- 이전기술은 스마트 스페이스 구현 기술의 일부기술로써 공간 내 상황을 이해하여 보다 몰입감 있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유비쿼터스 환경에 증강현실 기술이 접목된 미래 사회를 가속화 할 것으로 예측됨
- 이러한 예측에 따라 의료, 교육, 건설, 국방 등 같은 서비스 전반적인 분야에 파급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됨
- 따라서 이전기술은 Natural UI/UX 기술의 일부 기술로써 기존에 주로 게임이나 TV 시장에 국한되었으나, 점차 스마트 기기, 가전기기 등 적용분야가 산업 전반에 걸쳐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련 기술의 세계 시장은 ‘17년 10.1억 달러에서 연평균 30%의 고성장률로 ’22년 37.7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본 기술의 경쟁기술로는 Microsoft사는 천장에 달린 입체 영상 프로젝터, 키넥트 기능을 갖춘 카메라, 곡면 스크린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장소에 있는 사람들이 같은 공간에 있는 것처럼 회의 및 작업을 공유할 수 있는 증강현실 시스템인 ‘미러지 테이블’이 있음
? 이 기술은 원격 텔레프리즌스 기술로써 본 기술과 유사하나 카메라로 손가락 기반 터치 인식기술은 적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차별성이 있으며, 또한 전체 솔루션을 이용하여야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격적으로도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됨
- 본 기술은 멀티모달 인터랙션 기술의 일부로써 테이블 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증강하여 손가락을 인식하여, 별도의 터치에 특화된 기기 없이, 범용적으로 터치하는 인터페이스 기술을 기업에 이전함으로써 다양하고 새로운 응용 및 서비스 개발 될 수 있도록 함.
- 별도의 터치 특화된 기기 없이, 범용 터치 인터페이스 기능 제공함
- 자동화된 카메라-프로젝터간 좌표계 캘리브레이션 기술임
- 카메라-프로젝터 간 캘리브레이션이 시작되면 사람의 개입 없이 캘리브레이션 수행함
- API 제공을 통한 다양한 응용 개발 가능함
- Depth 카메라 기반의 손가락 터치 인지로 주변광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음
- 다양한 플랫폼에서 운용 가능함
- 다양한 depth 카메라 지원 : MS Kinect, Asus Xtion, Intel Perspective 연동 가능함
- 일반적인 RGB 웹 카메라 지원함
- Java 기반 구현으로 다양한 H/W 와 운영체제에서 구동 가능
- OpenCV 기반 구현으로 추후 GPU를 통한 성능 개선 가능
기술명 : 카메라-프로젝터 기반 터치 및 증강 인터페이스 기술
- 카메라-프로젝터 캘리브레이션 자동화 기술
- 카메라-프로젝터간 좌표 연동 기술
- 손가락 기반 터치 인식 기술
- 카메라-프로젝터간 연동 제어 기술
기술명 : 카메라-프로젝터 기반 터치 및 증강 인터페이스 기술
- 스마트 스페이스 공간 상황 이해 시스템 구조 설계서
- 카메라-프로젝터 기반 터치 및 증강 인터페이스 기술 요구사항정의서
- 카메라-프로젝터 기반 터치 및 증강 인터페이스 기술 시험절차서
- 카메라-프로젝터 기반 터치 및 증강 인터페이스 기술 시험결과서
- 카메라-프로젝터 기반 터치 및 증강 인터페이스 기술 S/W 소스 코드
- 본 이전기술은 지능형 로봇, 미래형 단말, 지능형 공간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 하기 때문에 본 기술이 진출 가능한 시장은 다양한 산업이 될 수 있음.
- 본 기술의 주요 수요처는 지능형 시스템 개발과 관련한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로, 국내 IT 관련 대기업과 다수의 중소기업들이 대상이며, 이에 따른 일정 수준의 수요처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또한 차세대 PC, 스마트홈, USN, 디지털 콘텐츠 등 타 성장동력 분야와 연계하여 핵심 기술이 적용되고 파급됨으로써 산업의 동반성장을 기대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