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기술이전 검색
Year ~ Transaction Count Keyword

Detail

Technology for Sharing and Application of Indoor Geospatial Information

Manager
Jaejun Yoo
Participants
Park Sang Joon, Shin Sung Woong, Jaejun Yoo, Lee Soyeon
Transaction Count
2
Year
2015
Project Code
15MC3700, Development of Standards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and Service Interfaces for Indoor Location Based Service, Jaejun Yoo
14MC2400, Development of Standards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and Service Interfaces for Indoor Location Based Service, Jaejun Yoo
13MC2200, Development of Standards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and Service Interfaces for Indoor Location Based Service, Jaejun Yoo
­ 본 이전 기술은 일상생활의 80% 이상이 이루어지는 실내공간에 대한 다양한 실내공간정보(실내지도, 실내측위지원정보, 실내 POI, 실내 네트워크 등)를 공유 및 활용하기 위한 기술임
­ 기 구축되어 있는 실내공간정보의 공유 및 활용을 위한 표준기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보다 다양한 실내공간정보의 저작 및 확산을 위한 웹 기반 실내공간정보 저작기술을 포함함
­ 최근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이 급속히 확산되고, 실내공간이 보다 복잡해짐에 따라 일상생활의 80% 이상이 실내에서 이루어 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고, 이에 따라 기존 실외공간을 대상으로 제공되어 오던 서비스들이 실내공간을 그 대상영역으로 점차 확대하고 있음
실내 경로안내 등의 실내 내비게이션, 실내 공간관리, 실내 재난 모니터링 등
과 같은 서비스는 현재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제공되어야 하는 필수 서비스 등으로 논의되고 있음

­ 이러한 다양한 실내공간 기반 서비스는 실내공간에 대한 실내지도, 실내 POI, 실내 network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어야 함.
­ 하지만 구축, 관리, 소유 등의 문제로 인해 실외공간에 대한 공간정보와는 달리 실내공간에 대한 정보는 단일 제공자에 의해 구축, 제공되기 어려움.
­ 이에, 도처에 존재하는 혹은 다수에 의해 제공되는 실내공간정보를 공유 및 접근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의 제공이 필수적으로 요구됨
­ 더불어, 실내 공간에 대한 network 정보등을 보다 쉽게 저작하고 실외공간 좌표와 매핑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저작도구를 통해, 실내공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보다 쉽게 만들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음
­ 본 이전 기술은 이러한 요구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의 실내공간정보를 공유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실내외 연계를 기반으로 기본적인 실내공간정보를 저작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써, 최근 주목받고 있는 실내 위치기반서비스의 확산 등을 위해 핵심적으로 요구되는 기술임
­ 본 실내공간정보 공유 및 활용 기술은 최근 이슈되고 있는 실내위치기반서비스를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실내공간정보를 표준 기반의 메타데이터 정의에 의해 기반하여 저작, 공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써, 관련 업체 및 기관별로 개별적으로 고가에 구축 되고 독자적으로만 활용되고 있는 실내공간정보를 보다 쉽게 저작하고, 단말-서버 구조를 기반으로 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용절감 및 서비스 운영성 확대를 지원할 수 있음
- 실내 network, POI, WiFi AP List, Bluetooth AP List 등과 같은 실내공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웹에서 저작하고, 다수의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실내공간정보를 등록, 검색, 공유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 및 단말 SW임.
- 실내공간정보의 웹 기반 저작, 실내공간정보의 등록, 검색, 조회, 다운로드 및 이에 기반한 실내 내비게이션 프로토타입(실내측위제외) App SW를 포함함
- 실내공간정보 공유 및 활용 단말기술 구조/상세설계서, 시험절차서/결과서, SW 프로그램
- 실내공간정보 공유 및 활용 서버기술 구조/상세설계서, 시험절차서/결과서, SW 프로그램 (웹 기반 실내공간정보 저작기능 포함)
­ 본 기술은 실내 환경에서의 효율적 경로안내 및 긴급정보 제공 등의 실내 내비게이션을 포함한 실내 공간 대상의 위치기반서비스 등을 제공할 때의 핵심 기술요소로서 효과적인 실내 공간 활용 및 효율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음
● 대표적인 예로써, 실내외 연계 내비게이션을 통해 최적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차량 및 보행자의 이동 효율성을 높여 에너지의 사용을 보다 효율화 할 수 있음
● 실내공간이 보다 대형화, 복합화 되어 감에 따라 실내 위치기반서비스는 기존의 ITS, GIS, LBS 시스템 등과 밀접하게 연계 및 통합됨으로써 관련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보다 확대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