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통신네트워크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Optical SDN구현을위한 Metro용 Port-agnostic 광송수신기술개발” 과제의 결과물인 “위상 변조/복조 광모듈 평가 기술”을 기술이전을 통하여 코히어런트 100G 트랜시버 광송수신 모듈 생산 기술 확보 및 시장 개척을 하고자 함
? 스마트폰 및 멀티미디어 보급의 급증으로 에너지 및 주파수 자원저감 및 대용량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음. 이에 따라서 레이저 모듈을 이용한 통신기술은 종전의 광세기 변조에서 광신호의 위상 및 편광 특성을 이용한 변조/복조 기술로 빠르게 진화중임.
? 향후 100G coherent방안은 Metro와 LH에서 다른 형태의 optical component 사용이 예상됨. LH의 경우 광모듈의 장거리, 대용량의 high performance를 요구하며, DP-QPSK방식에 Gbuad rate를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Metro 시장의 경우 small size, pluggable optics, port-agnostic로 32Gbaud 기반의 DP-QPSK, N-QAM 방식으로 진화가 예상됨.
? 따라서, 새로이 성장하는 선진 시장에 대응하기 위하여 레이저 위상 신호 변조, 위상 변조 신호 복조를 위한 광부품의 시험 평가 및 분석기술, 이를 집적하여 하나의 광모듈화를 통한 제품화 기술을 위한 시험평가 기술이 요구됨
? 출연(연)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보유한 “위상 변조/복조 광모듈 평가 기술”에 대한 기술 이전 통해 코히어런트 광송수신 트랜시버 모듈의 핵심 광부품인 위상 변조 광모듈과 위상 복조 광모듈의 특성 시험 평가와 특성 최적화 뿐아니라, 위상 변조/복조 광모듈 집적화 기술을 산업체에 제공하여 코히어런트 광송수신 트랜시버 모듈 제품의 세계시장 진출 및 시장 확보에 필요한 사업화 핵심 역량 확보와 산업 경쟁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본 기술은 기존의 on-off 전통 방식의 광신호처리 기술에서 광신호의 위상 특성 및 편광 특성 제어를 통한 장거리 및 고속 대용량 데이터 처리 및 전송이 가능한 위상 변조/복조 광송신/수신 모듈의 성능을 시험 평가/분석하여 광송수신 모듈 집적화 기술을 최적화하여 개별 광송신 모듈과 광수신 모듈 제작 뿐만 아니라 코히어런트 광트랜시버 모듈 제작을 위한 기술 개발에 기여 할 수 있는 기술임.
기술명 : 위상 변조/복조 광모듈 평가 기술
? 위상 변조 광모듈 시험 환경 구축 및 시험 평가/최적화 기술
? 위상 복조 광모듈 시험 환경 구축 및 시험 평가/최적화 기술
기술명 : 위상 변조/복조 광모듈 평가 기술
? 위상 변조 광모듈 시험 환경 구축 및 시험 평가/최적화 기술
a. 위상 변조 광모듈 시험 환경 구축 기술 문서 제공
b. 위상 변조 광모듈 시험 평가/최적화 기술 문서 제공
? 위상 복조 광모듈 시험 환경 구축 및 시험 평가/최적화 기술
a. 위상 복조 광모듈 시험 환경 구축 기술 문서 제공
b. 위상 복조 광모듈 시험 평가/최적화 기술 문서 제공
? 현재 고부가 광통신 부품 시장의 반도체 기반의 광소자 및 모듈 기술은 스마트폰을 필두로한 컨슈머 모바일기기, 멀티미디어 등의 폭발적인 보급에 따른 소비자 데이터 소비 폭주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핵심 기술로 대두되고 있으며, 종전의 데이터 처리 방식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레이저 위상 변조/복조 광부품 시장이 증대되고 있음
? LiNeO3 또는 InP Mach-Zender Modulator와 Integrated Coherent Receiver 등 반도체 기반의 광변저/복조 시험 평가 기술은 기존의 광트랜시버 업체는 확보하지 못한 기술이며, 분석, 성능시험 등 관련 기술이 전무한 상태임
? 또한 Coherent 광부품을 측정할 수 있는 시험 환경인 장비와 설비등도 현 업체에서는 갖추지 못해 모든 장비들을 새로 대규모 구매 및 투자해야 하는 부담이 있으며 시험 환경 구축을 위한 기술력이 전무한 상태임.
? 이러한 배경 하에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집적플랫폼연구실의 축적된 위상 변조/복조 광모듈 시험 평가 기술을 업체에 전수하여 Coherent CFP 개발로 이어지는 토대가 될 수 있으며, 광부품 연구실과 광트랜시버 업체의 협력으로 DP-QPSK를 필두로 또 다른 파생제품을 개발 가능성이 열리게 될 것으로 기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