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단행본 검색
Type Keyword

Detail

[Insight Report] 국가 연구 개발 출연(연)의 새로운 혁신 방향 - 전략적 개방형 혁신 시스템
Download 556 time
Authors
이지형, 조영환, 함진호
Issue Date
2016-12
Type
ETRI Insight
DOI
10.22648/ETRI.2016.B.000034 
Abstract
최근 출연(연) 혁신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급증하고 있어서 본고에서 「정부 연구 개발 혁신 방안」과 「기존 연구 문헌」을 검토하여 정부가 해결해 주기만을 바라기 보다는 출연(연)이 스스로가 혁신할 수 있는 방안이 있는지를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출연(연)은 정부가 출연하고 연구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기관으로 정의되며, 다양한 분야에서 국가가 필요로 하는 정책들을 뒷받침하는 싱크탱크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경제인문사회연구회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개의 연구회 소속 총 51개의 출연(연)으로 구성되어 있고, 인력은 21,491명, 예산은 5조 5,590억원으로 운영되고 있다(2015년 말 기준). 정부가 인식하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속 출연(연)의 문제점으로는 10년 후 시장에서 필요한 세계적인 원천기술 개발 미흡, 기술이전 및 중소·중견기업 지원 미흡 등이 있다. 문제의 원인으로는 PBS 예산, 정부의 예산배분 전문성 결여, 출연(연)의 정체성 및 폐쇄성, 조직의 경직성, 우수인력 유출, 정부 TO 통제, 해외 우수인력 확보 미흡, 기관장의 짧은 임기, 단기적 기관운영, 일률적·형식적 R&D 성과평가 등이 지적된다. 기존 문헌에서는 예산구조 개선, 조직의 유연성 제고, 우수인력 채용 인센티브 도입, 기관장 임기 연장 및 엄격한 평가체계 도입 등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한다. 성공적인 혁신 방향은 대규모 협업을 통해 전문성 제고와 역량의 회전율을 높이는 것이며, 기술개발에서 가치제고연구로 연구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Silos 연구방식에서 Open Innovation이 가능한 협업체계로 전환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ETRI 혁신 성공을 위해서는 강력한 기획조정본부, 전략적 개방형협력플랫폼, 기술창업연구소가 필요하다.
This work is distributed under the term of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KOGL)
(Type 4: : Type 1 + Commercial Use Prohibition+Change Prohibition)
Type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