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Knowledge Sharing Plaform

KOREAN
연구보고서 검색
Type Funding Org. Research Org.
Year ~ Keyword

Detail

ETRI R&D 성과의 사업화 촉진 사업 (2차년도)
Download 2335 time
Participants
이재기, 이해원, 한우용, 김태홍, 유종준, 박종수, 배문식, 김용채, 김인수, 박우구, 박기식, 박종흥, 송재관, 정철오, 송인택, 정승국, 허성익, 채미옥, 손민호, 박애순, 정하재, 성낙선, 남명희, 박영호, 최희진, 윤수진, 김주석, 김은정, 정영근, 이형주, 길운규, 김인수, 정하재, 강병용, 김동섭, 류동현, 박태웅, 소운섭, 정해원, 손명희, 박사종, 심용호, 김민현, 홍재표, 박웅, 정옥조, 박범수, 황호영, 김서균, 김영호, 김호민, 한병길, 고해신, 이혜선, 김재면, 김종면, 박소라, 정지성, 박호영, 문권한, 오경석, 김약연, 이재호, 김현빈, 서상원, 조원석, 이혜림, 모상현, 방영조, 김동규, 김해용, 오천인, 박미룡, 노두환, 진은숙, 김승현, 조영조, 안지영, 이일진, 김진경, 황택진, 김미선, 이영임, 김동근, 고현성, 신재헌, 이용훈, 송문섭, 신용희, 남현순, 김록원, 김법중, 이동한, 김영호, 조호길, 김준성
Published
201912
Type
Annual Report
Keyword
기술 마케팅, 기술 사업화, 수요 밀착형, 사업화 생태계 기반 조성
Funding Or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esearch Or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OI
10.22648/ETRI.2019.R.000385 
Project Code
19ZV1100, Promotion of Expansion and Commercialization for ETRI R&D Results, Ho Young Park
Abstract
4. 과제 성과목표 대비 실적
□ 수요밀착형 국내/글로벌 기술마케팅 수행
o 개방형 기술사업화 협력 네트워크 운영 확대
- (기업) 연구원-기업 상시협력 네트워크 운영을 통한 기술사업화 추진
· 테크매칭데이 개최(8회)를 통한 수도권 현장 기술수요 발굴(40개)
· 파트너기업 발굴(8개), 기술교류회 추진(23회)
- (원외) 연구원 R&D 성과 확산을 위한 외부 사업화유관기관 협력 강화
· 공공연구기관-중견기업연합회-KIAT-KEIT 기술협력 MOU 체결
· 연구원-사업화유관기관 협력형 기술마케팅 연중 추진
- (원내) 전략적 기술마케팅을 위한 연구현장과의 유기적 협력 실행
· 연구부서 마케팅 희망기술 수요 접수(22개) 및 기술이전 추진(6건)
· 사업화협력실-연구부서 협력을 통한 정부 R&BD과제 제안(25건) 및 수주(13건, 30.5억원)
· 원내 부서와 협력을 통한 사업화유망기술 설명회 개최(4회)
o R&D성과확산을 위한 수요밀착형 국내외 기술마케팅 수행
- 사업화유망기술 선정 및 SMK/e-SMK 제작
· 내∙외부 환경분석/수요조사로 사업화유망기술 선정(65개)
· 사업화유망기술 마케팅을 위한 SMK(65건), e-SMK(10건) 제작
- 수요밀착형 온∙오프라인 기술마케팅 전략 수립 및 실행
· 기술이전웹페이지, DM, SNS 채널을 활용한 온라인 마케팅 추진(연중)
· 사업화유망기술 설명회 개최(25건) 등 오프라인 마케팅 추진(연중)
· 사업화협력실 주도 수요발굴형 기술이전 계약 체결(41건)
- 수도권 현장수요 중심 기술사업화 추진 확대
· 수도권 사업화 유관기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확대 및 강화
· 수도권 기업 네트워크 구축 및 기업 Needs 발굴(20개)
o ETRI 개발기술의 Biz-Model 개발 및 활용
- 사업화유망기술 내·외부 환경분석 및 Biz-Model 개발
· 전략적 기술마케팅을 위한 Biz-Model 개발 대상 기술 선정(10개)
· 선정 기술에 대한 정보수집 및 분석을 위한 연구자 인터뷰 진행(10회)
- Biz-Model 기반 기술소개자료 제작 및 활용
· 연구원 개발기술 활용 BM 개발 및 BM-SMK 제작(10건)
· 기업이 기술사업화 관점에서 검토할 수 있는 Biz-Model 개발
· 개발된 Biz-Model 홍보를 위한 BM-SMK 및 기업배포용 책자 발간

□ ETRI R&D성과 기반 혁신창업 촉진
o 창업 아이디어 발굴 및 고도화 지원
- ETRI 보유기술을 사업화할 내/외부 예비창업자 발굴, 창업준비 지원
· 창업 아이디어 발굴 10건, 창업 아이템 고도화 3건(5명)
- 창업 아이디어 발굴(START IDEA UP 2019)
- 창업 아이디어 고도화(예비창업 활동) 지원
- 인프라(공간, 장비, 기술)지원
- 창업 아카데미 운영 계획 수립
o 연구소기업 설립 및 성장지원
- 연구소기업 설립 5건, 기술사업화 투자 1건, 추가출자 1건, 보유주식 매각 2건, 상장지원 2건(수젠텍, 신테카바이오)
o 창업문화 확산
- 창업기업협의회, 토룡벤처포럼, 창업설명회, 창업이야기 등을 통해 기업가정신 제고 및 창업문화의 원내 외 확산
· 도룡벤처포럼 개최∙운영 협력 10회, 동문창업이야기 발간 7건, 소셜벤처 연계, 북경KIC 연계, 창업기업 간담회 2회, 연구소기업 간담회 1회, Monday Lunch Box 6회

□ ETRI 사업화기업 혁신성장 지원
o 기술사업화 현장지원
- 현장지원 대상기업 발굴 및 지원 수행
· 전담인력 운영(30명), 지원기업 발굴(43개)
· 현장지원 파견인력 모니터링(24회)
· 현장지원 전담인력 간담회 및 워크샵 개최(4회)
- 29명의 전담인력 운영을 통해 37건 애로해소 지원, 전반적 만족도 96점 달성
- 현장지원 성과홍보(6건) - KBS 9시 뉴스 등
o 연구부서-R&D파트너기업 집중지원 체계 운영
- (R&D 파트너기업 성장지원) 10개 R&D파트너기업 지원
· 종합기업진단, 지원핵심요소도출, 맞춤형 지원계획 수립 및 맞춤형 기업지원
· 기업별 종합기업진단, 성장지원 전략 도출 및 맞춤형 성장지원
- (E-패밀리기업 맞춤형 기술지원) 52개 E-패밀리기업 지원(37개 연구부서)
· 사업 홍보 및 기업 홍보를 위한 전시회(2건), 우수사례 발굴
· 기여 매출액 발생 효과 51.9억 원, 비용절감 효과 12.2억 원, 선진국 대비 기술수준 향상 효과 평균 15.1%, 품질향상 효과 기업평균 13.2%, 고용창출 118명, 후속과제 수주 23건, 만족도 91점
o 연구장비 공동활용 지원
- 고가의 측정 장비 및 시험/테스트베드 등 보유 시험시설 통합지원을 위한 제도 및 체계 확립
· 공동활용 가능 장비/시험 항목 선별 및 DB 구축
· 홈페이지(www.venture119.re.kr)를 통한 장비, 시험지원
- 지원실적 : 469건(장비지원 274건, 시험지원 195건)
- 비용절감 평균 1.26억, 제품개발 단축 평균 3.79개월, 제품상용화 기여도 46.48%, 만족도 98점
- 기술도우미 21건 상담 처리(전화 11건, 이메일 7건, 방문 3건)
- ICT 융합 기술 시험지원 랩 신규 확대 구축
- 차세대 무선통신 분야 지원을 위한 장비 및 시설 구축
o 사업화기술/실증 인프라 지원
- 시제품 실증 제작·시험 지원(35건)
· 융합기술시제품제작소 기반 시험 시제품 실증 제작·시험 지원(29건)
· 생산인프라 활용 산-연협력 상용 시제품 실증 제작·시험 지원(6건)
· 융합센터 기능 재정립 방안 수립 및 추진, 실증 인프라 구축을 위한 융합센터 환경개선
· 모바일 웹페이지 구축으로 이용자 고객만족 및 센터운영 효율화
· 실증지원 연계 신규 기술확산(기술이전 2건, 총 기술료 0.6억)
- 신규 시험검증 인프라 구축(KSB 인공지능 시스템 테스트베드)

□ ETRI R&D성과의 확산·사업화 생태계 기반 조성
o 기술사업화 추진전략 수립
- ETRI 기술사업화 전략 프레임워크
- 기술마케팅 추진체계 개선방안(안)
- 에트리홀딩스(주) 투자 성과보수 체계(안)
- 전주기 통합 사업관리 체계의 사업화 연계방안(안)
- ICT R&D 혁신바우처 추진계획(안)
o Tech-Market Bridge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기술예고제 시행
· ‘10Gbps 및 25Gbps급 고속 오류 정정 기술’ 등 개발완료 예정 기술 57건
· 기술 카탈로그 제작/배포(2,000개社) 및 온라인 서비스 제공
- 사업화협력 수요조사 시행
· ICT기업 1,000개社 대상 심층 수요조사 실시
· 연구부서 협력수요 206건, 사업화지원 수요 655건 발굴
* ICT R&D 바우처 사업 수주 1건(4.05억원)
· 수요조사 분석결과 원내 연구부서 및 사업화부서 배포
o 기술사업화 정책협력 네트워크 활동
- 출연연 기술가치평가 협업체 추진위원회(2회)
- 지자체-ETRI 사업화 협력 간담회(3회)
- ICT기술사업화페스티벌 TFT 참석 및 공동기획
- ICT R&D 혁신바우처 예타 협력·지원, ICT R&D 기술DB 활용도 제고 정책간담회(2회)
- 산업부 출연연·중견기업 기술협력 협의회
- 기보 Tech-Bridge 연계 기술사업화 사업 협력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출연연 성과확산부서장 회의
o 사업화 협력·지원 성과관리 및 홍보체계 구축·운영
- ICT기술사업화페스티벌 개최
- 기술사업화플랫폼 홍보 브로셔 제작
- 사업화협력/지원 성과 조사 및 분석
- 사업화 촉진 우수성과 사례집 기획/발간
- 중기지원·사업화협력 통합 플랫폼 운영

(출처 : 요약문 12p)